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기준금리 4연속 동결, 경기활력 제고로 응답해야

한국은행이 13일 현재 3.50%인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2월과 4월, 5월에 이어 4연속 동결이다.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작년 동월 대비 2.7%)이 2021년 9월(2.4%) 이후 21개월 만에 처음 2%대로 떨어진 점이 주요 근거로 작용했다. 또 수출과 내수 회복이 더뎌 정부나 한은이 기대하는 하반기 경기 반등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한은이 소비와 투자 위축 위험을 감수하고 금리를 더 올릴 이유를 찾기 어려웠을 것이다. 더구나 최근 새마을금고 사태에 따른 금융시장 경색과 제2금융권의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부실 우려도 고려했을 것이다.

지난 5월 말 한은은 반도체 등 IT(정보통신)경기 회복이 뚜렷하지 않고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도 기대보다 작다며, 성장률 눈높이를 1.4%까지 내린 바 있다. 실제 중국 경제는 최근 극심한 수요 부진 탓에 ‘디플레이션(물가하락) 수렁’에 빠져들고 있다. 특히 생산자물가는 벌써 9개월째 마이너스를 기록 중이다. 최대 교역국인 중국의 경기침체 심화로 한국의 2분기 성장률(전분기 대비)은 애초 한은 전망(0.6%)에 못 미칠 가능성이 크다.

물가보다 경제활력 제고로 한은과 정부가 스텝을 옮기는 것은 불가피하지만 물가관리에 긴장의 끈을 놓아서는 안 된다. 소비자물가는 2.7%까지 하락했지만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석유류 제외) 상승률은 4.1%로, 둔화 속도가 더디다. 여기에 하반기에는 전국적 대중교통요금 인상이 서민 부담을 크게 늘릴 수 있다. 8년 만에 버스비를 300원, 지하철요금을 150원 올리기로 결정한 서울시가 신호탄이다.

한국이 3.5% 금리를 고수하면서 한·미 금리 차가 사상 초유의 2%포인트까지 커지는 점은 부담이다. 외국인 자금의 급격한 유출을 불러올 수 있어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오는 26일 정책금리를 0.25%포인트 더 올릴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외국인 주식투자 자금 유출입을 보면 크게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 현재 한·미 금리 차가 1.75%까지 벌어졌지만 외국인들은 한국 주식을 70억달러어치나 순매수했다. 이전 사례를 봐도 그렇다. 한·미 금리 역전시기 4번 중 외국인의 국내 투자금이 줄어든 적은 한 번도 없었다. 단순한 명목 금리 차가 자본의 유출입을 결정하지는 않는다는 뜻이다.

외국인들이 가장 주목하는 변수는 경상수지 흑자라는 게 전문가들의 일치된 분석이다. 경제활력을 나타내는 바로미터이기 때문이다. 일자리와 미래 투자, 물가 안정, 외국 자본 유입이 이것에 달렸다. 한은의 4연속 금리 동결이 경제활력 제고의 마중물이 돼야 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