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산업부, 中 갈륨 수출통제에 공급망 긴급점검…"단기 영향 제한적"
다른 품목으로 확대 가능성 주시…"中 동향 점검, 신속 대응"
주영준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헤럴드경제DB]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중국이 반도체 제조에 쓰이는 금속인 갈륨과 게르마늄을 대상으로 한 수출 통제에 나선 가운데 우리; 정부는 4일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와 긴급회의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오후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주영준 산업정책실장 주재로 산업 공급망 긴급 점검회의를 열어 중국의 갈륨과 게르마늄 수출 통제 시행이 국내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주 실장은 "이번 조치의 단기 수급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보이지만, 중국 수출 통제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불투명하고 다른 품목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중국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신속히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반도체 등 주요 산업에서 생산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체처 발굴, 비축 등과 함께 특정국 의존도가 높은 품목의 대체 물질 기술 개발, 재자원화 등 대응 역량을 확충해 나갈 방침이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 관계자들은 중국의 수출 통제가 시행돼도 단기간 수급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갈륨의 경우 미래 반도체 개발을 위한 연구용 등으로 사용되는 만큼 직접 영향은 크지 않은 상황으로 평가됐다.

또 갈륨은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등의 소재로 쓰이고 있어 중국의 수출 규제에 따른 영향이 일부 있을 수 있지만, 중국 외에도 미국 등에서 들여올 수 있다. 아울러 광해광업공단은 현재 40일 수준의 갈륨 비축량을 확보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반도체 공정용 가스 생산 등에 사용되는 게르마늄의 경우 업계는 대체 가스를 사용하고 있고, 수입처 다변화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중국 상무부는 전날 갈륨과 게르마늄 관련 품목을 허가 없이 수출하지 못하게 하는 수출 규제를 내달 1일부터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