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피프티 피프티 사태 점입가경…“워너가 바이아웃 200억 원 제안” vs “독단적 논의 없었다
피프티 피프티 [어트랙트 제공]

[헤럴드경제=고승희 기자] K-팝 걸그룹 최단 기간 내에 미국 빌보드에 입성하고, 최장 기간 차트인 기록을 쓰고 있는 피프티 피프티 사태가 점입가경이다. 양측이 팽팽히 맞서며 폭로전을 이어가고 있다.

피프피 피프티 소속사 어트랙트는 피프티 피프티 음악 프로듀싱 용역 업체를 맡았던 더기버스 안성일 대표가 멤버들을 강탈하려는 시도가 담겼다는 녹취파일을 3일 공개했다.

이 녹취파일엔 지난 5월 9일 어트랙트 전홍준 대표와 워너뮤직코리아의 임원이 나눈 대화가 고스란히 담겼다. 어트랙트는 녹취록을 통해 “워너뮤직코리아 임원이 ‘안성일 대표에게 바이 아웃을 하는 걸로 200억 제안을 드린 게 있다’며 ‘우리가 아이들(피프티 피프티)을 다 인수하고…’라고 답했다”는 대화 내용을 공개했다. 바이아웃은 프로 스포츠에서 통용되는 말이다. 연예계에서도 일정 금액 이상의 이적료를 제시, 다른 기획사가 해당 기획사에 속한 아티스트와 협상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트랙트 관계자는 이에 “안성일 대표는 소속사 어트랙트 전홍준 대표의 승인없이, 독단적으로 피프티 피프티의 바이아웃 건을 진행하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더기버스 측의 입장은 이와 다르다. 더기버스는 이날 “안 대표는 워너뮤직코리아의 제안을 중간에서 전달했을 뿐 멤버들의 거취를 독단적으로 논의한 적이 없다”며 “소속사와 멤버들 간의 이슈에 대한 책임을 관련 없는 회사에 지우는 억지 프레임”이라고 맞섰다.

그러면서 “워너뮤직코리아는 어트랙트에 ‘레이블 딜’의 구조를 제안했고 이에 대해 전홍준 대표와 논의를 희망했다”며 “레이블 딜이란 자금이나 인프라가 부족한 중소 회사를 글로벌 직배사 산하 레이블로 두고 자금과 인프라를 제공하는 투자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어기버스에 따르면 녹취록에서 윤 전무가 언급한 ‘바이아웃’은 어트랙트와 피프티 피프티를 워너뮤직코리아 산하의 레이블로 두는 이 ‘레이블 딜’을 제안했다.

더기버스 측은 “안 대표는 이 제안을 어트랙트 측에 전달했으나 전 대표가 어트랙트의 상장을 희망해 이를 거절한 것”이라며 “대신 전 대표는 선급 투자(음원 유통사가 기획사에 투자금을 지급하고 독점 유통권·수수료 등을 확보하는 방식)에 관심을 보였으며 워너뮤직코리아는 그에 맞춰 제안을 수정했다”고 주장했다.

더기버스 측은 “이 과정에서 당사는 의사 결정권자가 아니며 어떠한 불필요한 역할을 수행하지 않았다”며 “더기버스는 기획, 제작 및 프로듀싱을 전문으로 하는 회사로 아티스트와 소속사의 계약 관계는 업무와 관련이 없다”고 강조했다.

앞서 어트랙트는 최근 피프티 피프티 멤버들을 빼돌리려는 시도가 있었다며 그 배후로 ‘큐피드(CUPID)’를 만든 안 대표를 지목했고, 워너뮤직코리아엔내용증명을 발송했다. 워너뮤직코리아는 이러한 내용에 대해 사실무근이라고 해명했다.

양측의 입장이 엇갈리자 어트랙트 전 대표는 지난 달 27일 서울 강남경찰서에 안 대표 외 3명을 업무방해와 전자기록등손괴, 사기 및 업무상배임 행위 등의 혐의로 고소장을 접수했다. 더기버스는 “전홍준 대표와 어트랙트의 당사 대표 등에 대한 허위 고소 및 언론 등을 통한 지속적인 허위사실 유포 행위에 대해 법적 대응할 것”이라고 맞섰다. 이런 와중에 피프티 피프티는 지난달 19일 법률 대리인을 통해 어트랙트를 상대로 전속계약효력정지가처분 신청을 서울중앙지법에 제기했다. 네 멤버는 “어트랙트 측이 계약을 위반하고 신뢰관계 파괴를 야기한 데 따른 조치”라고 강조했다.

sh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