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부 ‘라면값 잡기’, 밀가루·우유가격으로 번지나…‘눈치싸움’ 치열 [푸드360]
농림축산식품부는 26일 대한제분, CJ제일제당 등 주요 제분업체들과 간담회를 열고 밀 국제가격 하락에 따른 밀가루 가격 인하에 대한 협조를 요청한다. [연합]

[헤럴드경제=이정아 기자] 대표적 ‘서민 음식’인 라면값 인하 압박에 나선 정부가 제분업계·유업계 등에 걸친 전방위적인 제품가 인하 압력을 가하고 있다. 소비자단체들도 라면은 물론 과자, 빵, 아이스크림 등의 가격까지 “제자리에 돌려놓을 때”라고 강조하며 지원 사격에 나섰다. 이에 누가 먼저 가격을 조정할지 식품업계 간 ‘눈치싸움’이 치열해지는 분위기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날 대한제분, CJ제일제당, 삼양사, 사조동아원 등 주요 제분업체들과 간담회를 열고 밀 국제가격 하락에 따른 밀가루 가격 인하에 대한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다.

이달 18일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한 지상파 방송에 출연해 ‘기업들이 적정하게 라면 가격을 내렸으면 좋겠다’고 발언한 지 불과 일주일가량 만에 열리는 간담회다. 한덕수 국무총리까지 “밀 가격은 많이 내렸는데 제품 값이 높은 것에 대해 공정거래위원회가 담합 가능성을 좀 더 열심히 들여다봐야 한다”고 언급했을 만큼, 정부의 ‘공개 압박’은 연일 거세지고 있다.

정부, 26일 제분업계에 밀가루 가격 인하 요청할 듯…업체들 인하 ‘방침’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연합]

제분업체들은 정부의 간담회 요청과 관련해 내부적으로 올해 하반기에는 밀가루 가격을 인하하겠다는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밀가루 가격이 인하되면 라면업체로서는 가격 인하를 거부할 명분이 줄어들게 된다.

다만 라면업체들은 즉각적인 가격 인하에 여전히 난색을 표하고 있다. 국제 밀 가격 하락이 곧바로 제품 원재료 가격 인하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주장이다. 라면의 또 다른 주재료인 전분, 설탕 등 가격이 올랐고 이와 함께 물류비, 인건비 등 제반 비용 상승도 잇따르고 있다는 설명이다.

‘압박’ 심해질 라면업계 난색…“전분·설탕값에 물류비·인건비 등 다 올라”
대형마트 라면 매대를 둘러보는 소비자의 모습 [연합]

농심 관계자는 “지난달에는 전분 가격 인상이 비용에 반영됐고 하반기에는 설탕 가격 인상도 반영되는 등 올해 연간으로 550억~600억원의 비용이 더 들게 된다”며 “팜유 등의 가격 인하분 100억원을 고려해도 올해 최대 500억원의 비용 증가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지난해 9월 농심이 라면 출고가를 평균 11.3% 인상하자, 바로 그 다음달에 팔도와 오뚜기가 제품 가격을 9.8%, 11% 각각 인상했다. 삼양식품은 11월에 라면 가격을 평균 9.7% 올렸다. 이에 따라 올해 1분기 라면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2.4%로,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 4분기(14.7%) 이후 15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유업계도 ‘된서리’ 예상…편의점서도 음료·아이스크림·통조림값 곧 인상
대형마트 유제품 매대를 둘러보는 소비자의 모습 [연합]

원유 가격 협상이 한창인 유업계도 된서리를 맞을까 우려가 크다. 낙농진흥회는 이달 9일부터 이사 1명, 생산자 3명, 우유업계 3명 등 7인으로 구성된 소위원회를 열어 원유 기본 가격 조정을 협상하고 있다. 올해는 ℓ당 69∼104원 범위에서 가격 인상이 확실시되는 가운데, 농식품부는 “원유 가격이 인상되더라도 흰우유 등 유제품 가격이 과도하게 오르지 않도록 유업계와 긴밀하게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사실상 인상 자제를 요구한 ‘압박카드’인 셈이다.

다만 정부가 라면에 이어 ‘밀크플레이션(우유+인플레이션)’에 제동을 걸고 나선 와중에도 매일유업은 다음달부터 치즈와 대용량 음료 등 일부 제품을 최대 18.8% 올린다. 다만 남양유업 등 다른 업체는 현재는 유제품에 대한 가격 인상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

여름 대표 간식인 아이스크림 등 편의점에서 파는 먹거리 상품도 줄줄이 오른다. CU, GS25, 세븐일레븐, 이마트24는 다음달부터 음료와 아이스크림·안주류·통조림 일부 제품의 가격을 최대 25% 인상한다. 롯데웰푸드(옛 롯데제과), 코카콜라 음료, 동원F&B 등 제조사들이 ‘더이상은 못 버틴다’며 원재료 가격 상승을 이유로 공급가를 올린 탓이다.

ds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