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코로나에 이자 경감받은 기업대출, 부실 위험 더 커질 수도[금안보고서]
1일 오전 부산항 일대가 안개로 말미암아 뿌연 모습을 보이고 있다.[연합]

[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코로나19 이후 금융 지원을 통해 감춰져 왔던 기업들의 잠재 부실이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현실화되고 있다. 금리 상승과 함께 경기 둔화가 가속화되며, 취약기업들 위주로 상환 능력이 악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곧 잠재 부실이 수면 위로 드러나고, 은행의 대출 부도율 및 신용손실이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은행의 손실흡수능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중소기업 연체율 상승 속도↑…숨겨졌던 부실, 수면 위로 떠오른다

2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기준 국내은행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0.34%로 전년 동기(0.32%)와 비교했을 때 0.02%포인트 상승했다. 통상 부실채권을 의미하는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0.51%로 전년 동기(0.62%)와 비교해 0.11%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소기업대출로 한정했을 때는 얘기가 다르다. 1분기 말 기준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41%로 전분기(0.32%)와 비교해 0.09%포인트 상승했다. 해당 연체율이 지난해 1분기 말(0.28%) 이후 0.13%포인트 상승한 것을 고려하면, 최근 속도가 빨라진 셈이다. 같은 기간 중소기업대출의 고정이하여신비율 또한 0.52%에서 0.57%로 0.05%포인트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 중구 명동의 한 음식점 앞을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연합]

한은은 “정부의 금융지원 및 금융사의 완화적 대출 태도 등으로 잠재위험이 현실화되지 않은 데 따라 전체 연체율은 양호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면서도 “중소기업대출의 위험 지표가 최근 상승세로 전환했는데, 이는 금리 상승 등으로 건전성 지표와 잠재 위험간 괴리가 축소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진단했다. 경기 변동에 취약한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감춰졌던 부실 위험이 드러나고 있다는 얘기다.

실제 기업들은 코로나19 이후 실제 위험 대비 더 낮은 이자 비용을 부담하며, 잠재 위험을 쌓아오고 있었다. 특히 중소기업이 대기업보다 더 많은 금융 여건 완화의 혜택을 받았다. 2020~2021년 중 대기업 및 중소기업의 가산금리는 장기평균(2000~2019년)에 비해 각각 0.25%포인트, 1.2%포인트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이 대기업에 비해 최대 0.95%포인트의 혜택을 더 본 셈이다. 기업 수 기준으로도 금리 수혜를 받은 중소기업의 비중이 대기업에 비해 높았다.

취약기업 더 늘어난다…“은행들, 손실흡수능력 키워야”

서울 한 거리에 주요 시중은행의 현금자동입출금기(ATM)가 놓여 있다.[연합]

사정이 이렇다 보니 한은은 기업 부문의 잠재 위험이 수면 위로 드러날 경우, 은행의 기업대출 부도율이 상승하고 신용손실이 증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기업들이 위험을 반영해 더 높은 이자비용을 부담할 경우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이자비용) 1 미만인 취약기업의 비중은 더 늘어날 것으로 추정됐다.

추정 결과에 따르면 취약기업 여신비중(해당 기업 차입금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대기업의 경우 2020년과 2021년 각각 3.1%포인트, 2.7%포인트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중소기업의 경우 각각 8.6%포인트, 7.5%포인트 상승했다. 아울러 은행 기업대출 부도율은 2022년 말 기준 0.24%포인트 상승하고, 국제결제은행(BIS) 자본비율이 0.47%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분석됐다. BIS 자본비율은 위험자산 대비 자기자본비율을 의미한다.

서울 한 거리에 주요 시중은행의 현금자동입출금기(ATM)가 놓여 있다.[연합]

이러한 잠재 위험 현실화와 함께 글로벌 경기 둔화 등 국내외 거시경제 여건 변화가 나타나며, 부실 위험이 더 크게 상승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이를 가정한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기업대출 부도율은 정도에 따라 0.29~0.65%포인트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IS 자본비율 또한 0.6~1.2%포인트 하락해 스트레스 상황에서 은행의 복원력이 상당 부분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선제적으로 은행의 손실흡수능력을 확충해야 한다고 조언이 나오는 이유다. 한은은 “은행의 잠재 신용손실을 감안했을 때 현재 기업대출 건전성 지표는 신용리스크를 과소 반영하고 있을 수 있다”며 “감독당국이 은행에 경기대응완충자본을 부과하기로 한 것은 기업여신 취약성 완화 및 잠재 위험 현실화 가능성 대응 측면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w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