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안전에 과잉대응은 동의하지만…전달 가이드라인은 필요”[數싸움]
북한이 우주발사체를 발사한 31일 오전 서울시가 발송한 경계경보 발령 위급 재난문자(왼쪽). 이어 행정안전부는 6시41분 서울시가 발령한 경계경보는 오발령 사항이라는 문자를 다시 보냈고 서울시는 경계경보해제를 알리는 안전안내문자를 발송했다. [연합]

[헤럴드경제=최은지 기자] 지난달 31일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 시도에 대한 서울시의 ‘경계경보’ 재난문자와 관련해 온라인상에서는 안전 문제에 대한 과잉대응은 일정부분 필요하지만, 상황을 전달하는 데 대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헤럴드경제가 5일 총회원수 20만명을 보유한 정치 데이터 플랫폼 옥소폴리틱스를 통해 온라인 여론을 빅데이터 분석한 결과, 이번 서울시 경계경보에 대해 20.1%는 ‘찬성’, 66.7%는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48명 참여, 정치성향별 가중치 부여값)

서울시는 오전 6시41분 '6시32분 서울지역에 경계경보 발령. 국민 여러분께서는 대피할 준비를 하시고, 어린이와 노약자가 우선 대피할 수 있도록 해 주시기 바란다'는 내용의 위급재난문자를 발송했다. 그러나 행정안전부는 22분 뒤인 오전 7시3분 '서울시에 발령한 경계경보는 오발령 사항임을 알려드린다'고 정정했다.

일본 정부는 이날 오전 6시30분께 오키나와현 주민들에게 "북한에서 미사일이 발사된 것으로 보인다. 건물 안 또는 지하로 대피하라"는 내용의 경보를 보내면서 ‘무엇 때문에’, ‘어디로’ 대피하라는 안내가 담겼다.

경보문자는 필요하지만, 내용에 대한 아쉬움이 지적이 나왔다. 중도진보 성향의 30대 남성은 “최소한 이유는 내용에 있었어야 한다. 이유에 따라서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가 달라진다”고 밝혔다.

중도 성향의 30대 여성은 “휴대전화 경보뿐 아니라 이른 아침부터 사이렌 울리고, 갑자기 주민센터에서인지 방송 나오는데 잘 들리지도 않고, 대피하라는데 이유도 내용은 없고 불안만 커졌다”고 지적했다.

중도 성향의 30대 남성은 “빠르게 보내고, 내용이 확인되면 또 보내야 한다”며 “실제 상황이면 1분1초가 급한 일”이라고 짚었다.

중도보수 성향의 40대 남성은 “알림 자체를 탓하고 싶지는 않은데 어떻게 하라는 내용이 빠진 부실한 문자는 문제”라고 답했다.

중도보수 성향의 20대 남성도 “문자 내용이 문제였지, 경보를 탓할 것은 아니다”라며 “항상 대비해야 하는 휴전국가로 우리의 안보 현실을 다시 한 번 새삼 깨닫게 된 계기”라고 밝혔다.

이 남성은 “간만에 불안감이 느껴졌고 지난 70년간 전쟁 없이 누려온 우리 일상의 평화는 전혀 당연한 게 아님을 다시 느꼈다”며 “이참에 전시 매뉴얼을 제대로 제작해서 공공장소나 방송에 공익광고처럼 홍보하고 대피소 앱 같은 것도 안내를 더 널리 해주길 바란다”고 조언했다.

실제 북한의 발사체는 실패했지만, ‘위험상황이 예측된다’는 미확인 경보에 대해서도 안전과 관련한 문제는 과잉대응 수준으로 접근하는 것에는 찬성(41.5%)이 반대(39.2%)보다 높았다.

진보 성향의 10대 남성은 “안전에 대한 것은 과잉대응해도 된다”며 “미확인된 거라면 더더욱 그렇다”고 밝혔다.

중도진보 성향의 10대 남성은 “백령도와 가까운 인천은 안전불감증 때문에 경보가 안 울린 것인가”라며 “결국 서울시와 행안부 간 커뮤니케이션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중도 성향의 20대 남성은 “예고된 발사인데 이렇게 손발이 안 맞을 수가 있나 싶지만, (경보문자를) 보내는 것 자체는 필요하다”고 말했다.

silverpap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