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은 “낮은 성장에도 목표수준 넘는 물가…상당기간 긴축기조"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헤럴드경제=김현경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는 25일 기준금리를 연 3.50%로 유지해 운용하기로 결정했다.

우리나라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지난 2월에 제시한 1.6%에서 1.4%로 0.2%포인트 하향하고,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2.4%에서 2.3%로 0.1%포인트 낮췄다.

올해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치는 기존에 제시한 3.5%로 유지했다. 다만 근원소비자물가상승률은 기존 전망치보다 0.3%포인트 높은 3.3%로 예상했다.

금통위는 이날 통화정책방향 결정문에서 기준금리 동결 배경에 대해 "올해 성장률은 지난 2월 전망치(1.6%)를 하회하는 1.4%로 예상되며 정보기술(IT) 경기 반등 시기, 중국 경제 회복의 국내 파급영향 정도, 주요 선진국의 경기 흐름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국내경제는 소비가 서비스를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보였지만 수출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성장세 둔화가 지속됐다. 고용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상황이지만 경기 둔화로 취업자수 증가폭이 축소됐다.

앞으로 국내경제는 당분간 부진한 성장 흐름을 이어가겠지만 하반기부터 IT 경기 부진이 완화되고 중국 경제 회복의 파급영향 등으로 점차 회복될 것이란 관측이다.

소비자물가는 4월중 상승률이 3.7%로 전달(4.2%)보다 낮아지며 한은의 당초 예상대로 둔화 흐름을 이어갔다. 석유류 가격 하락폭이 확대되고 가공식품 가격의 오름세가 둔화한 영향이다.

근원인플레이션율(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은 4.0%를 유지했고, 단기 기대인플레이션율은 5월중 3.5%로 낮아졌다.

금통위는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지난해 국제유가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상당폭 낮아졌다가 이후 소폭 높아져 연말까지 3% 내외에서 등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연간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치는 지난 2월 제시한 3.5%로 유지했다.

다만 근원물가 상승률은 누적된 비용 인상 압력과 양호한 서비스 수요 등으로 당초 예상보다 완만한 속도로 둔화해 연중 상승률이 지난 전망치(3.0%)보다 높은 3.3%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향후 물가 경로는 국제유가 및 환율 움직임, 국내외 경기 둔화 정도, 공공요금 추가 인상 여부 등의 영향을 받을 것이란 분석이다.

금융·외환시장은 국제금융시장 움직임에 영향으로 주요 가격변수의 변동성이 확대됐다고 평가했다. 장기시장금리는 3월 초까지 주요국 국채금리와 함께 상당폭 높아졌다가 실리콘밸리은행 사태 이후 큰 폭 하락했다. 원/달러 환율은 무역수지 흐름, 주요국 금융 불안 우려, 미 연준 긴축에 대한 기대 약화 등의 영향을 받으며 상당폭 등락했다.

금융·외환시장에서는 원/달러 환율이 무역수지 흐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정책금리 인상 종료 기대, 미 부채한도 협상 등에 따라 상당폭 등락했다. 장기 국고채 금리는 주요국 국채금리 움직임의 영향으로 다소 상승했다.

가계대출은 소폭 증가했고, 주택가격은 하락폭이 축소됐다.

금통위는 "국내경제는 낮은 성장세를 이어가겠지만 물가상승률은 상당 기간 목표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고 정책 여건의 불확실성도 높은 만큼 물가안정에 중점을 두고 긴축 기조를 상당 기간 이어나갈 것"이라며 "추가 인상 필요성은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 성장의 하방 위험과 금융안정 측면의 리스크, 그간의 금리 인상 파급효과, 주요국의 통화정책 변화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판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다음은 한은 금통위의 통화정책방향 의결문 전문

금융통화위원회는 다음 통화정책방향 결정 시까지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현 수준(3.50%)에서 유지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하기로 하였다. 물가상승률이 둔화 흐름을 지속하겠지만 상당 기간 목표 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현재의 긴축 기조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보았다. 추가 인상 필요성은 대내외 정책 여건의 변화를 점검하면서 판단해 나갈 것이다.

세계 경제는 예상보다 양호한 성장 흐름을 나타내고 있지만 주요국의 통화 긴축 기조 지속, 은행 부문의 신용공급 축소 등으로 성장세가 점차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인플레이션은 둔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며 근원물가는 상대적으로 더디게 둔화되고 있다. 국제금융시장에서는 미 달러화가 미 연준의 금리 인상 종료 가능성 시사 등으로 약세를 보이다가 5월 중순 이후 시장 예상을 상회하는 경제지표, 미국 부채한도 협상 등에 영향받으며 등락하였고, 주요국의 장기 국채금리는 좁은 범위에서 변동하다가 상승하였다. 앞으로 세계 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은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둔화 속도, 주요국의 통화정책 변화 및 미 달러화 움직임, 미국 중소형은행 리스크와 부채한도 협상, 중국경제의 회복 상황 등에 영향받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 경제는 소비가 서비스를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보였지만 수출과 투자 부진이 이어지면서 성장세 둔화가 지속되었다. 고용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상황이지만 경기 둔화로 취업자 수 증가 폭이 축소되었다. 앞으로 국내경제는 당분간 부진한 성장 흐름을 이어가겠지만 하반기부터 IT 경기 부진 완화, 중국경제 회복의 영향 파급 등으로 점차 회복될 것으로 예상된다. 금년 성장률은 지난 2월 전망치(1.6%)를 하회하는 1.4%로 예상되며, IT 경기 반등 시기, 중국경제 회복의 국내 파급영향 정도, 주요 선진국의 경기 흐름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다.

소비자물가는 4월 중 상승률이 전월 4.2%에서 3.7%로 낮아지는 등 당초 예상에 부합하는 둔화 흐름을 지속하였다. 이는 석유류 가격 하락 폭이 확대되고 가공식품 가격의 오름세가 둔화된 데 주로 기인한다. 근원인플레이션율(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은 4.0%를 유지하였고, 단기 기대인플레이션율은 5월 중 3.5%로 낮아졌다.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국제유가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 등의 영향으로 상당폭 낮아졌다가 이후 소폭 높아져 연말까지 3% 내외에서 등락할 것으로 보이며, 금년중 연간으로는 지난 2월 전망치(3.5%)에 부합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근원물가 상승률의 둔화 속도는 누적된 비용 인상 압력, 양호한 서비스 수요 등으로 당초 전망보다 완만할 것으로 예상되며, 금년중 상승률도 지난 전망치(3.0%)를 상회하는 3.3%로 전망된다. 향후 물가 경로는 국제유가 및 환율 움직임, 국내외 경기 둔화 정도, 공공요금 추가 인상 여부 등에 영향받을 것으로 보인다.

금융·외환시장에서는 원·달러 환율이 무역수지 흐름, 미 연준 정책금리 인상 종료 기대, 미 부채한도 협상 등에 따라 상당폭 등락하였고, 장기 국고채금리는 주요국 국채금리 움직임에 영향받아 다소 상승하였다. 가계대출은 소폭 증가하였고 주택가격은 하락 폭이 축소되었다.

금융통화위원회는 앞으로 성장세를 점검하면서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금융안정에 유의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것이다. 국내 경제는 낮은 성장세를 이어가겠지만 물가상승률은 상당 기간 목표 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고 정책 여건의 불확실성도 높은 만큼 물가안정에 중점을 두고 긴축 기조를 상당 기간 이어나갈 것이다. 추가 인상 필요성은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 성장의 하방 위험과 금융 안정 측면의 리스크, 그간의 금 리인상 파급효과, 주요국의 통화정책 변화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판단해 나갈 것이다.

p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