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카드론·리볼빙 권하더니...카드사도 연체율 관리 ‘골머리’
대부분 1%대, 3~4년래 최고
‘다중채무자’ 이용잔액 급증세
이자 법정최고금리 육박 부담
[연합]

지난해 말 급증했던 결제성 리볼빙 이용 금액이 높은 연체율로 돌아오고 있다. 카드사의 건전성 관리에 비상등이 커졌다는 분석이다.

22일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3월말 기준 카드사들의 카드론 잔액은 34조1210억원으로, 작년 말(33조6450억원)보다 3개월만에 1조원 이상 늘었다.

연령별로는 50대의 카드론 잔액이 10조9950억원으로 40대(10조9210억원)를 넘어 가장 잔액이 많았다.

2019년 말 기준 29조원대였던 카드론 잔액은 2020년 말 32조원, 2021년·2022년 33조원대, 올해 1분기 34조원대로 50∼60대를 위주로 급격히 늘어나는 추세다.

결제성 리볼빙 이월잔액도 증가세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7개 카드사(신한·삼성·KB·롯데·우리·하나·현대)의 올해 4월 리볼빙 잔액은 7조1729억원으로 전년 동기(6조2740억원)보다 1조원 가까이 늘어났다.

리볼빙은 일시불로 물건을 산 뒤 카드 대금의 일부만 먼저 결제하고 나머지는 나중에 갚는 서비스다. 결제대금 중 일부를 연체 없이 상환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이자가 사실상 법정 최고금리(연 20%)에 가까워 소비자에게 부담이 된다. 카드사들도 연체율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올해 1분기 카드대금, 할부금, 리볼빙, 카드론, 신용대출 등의 1개월 이상 연체율을 뜻하는 카드사의 연체율은 대부분 1%를 넘겼다. 사별로는 신한카드(1.37%), 삼성카드(1.10%), KB국민카드(1.19%), 롯데카드(1.49%), 우리카드(1.35%), 하나카드(1.14%) 등이다.

신한카드는 2019년 3분기(1.40%) 이후 연체율이 가장 높은 수준이다. KB국민카드는 2020년 1분기(1.24%) 이후, 삼성카드는 2020년 2분기(1.2%) 이후 연체율이 가장 높다.

카드론을 받는 고객 다수가 다중채무자인 만큼 당분간 카드 업계는 리스크 관리에 집중할 것으로 전망된다. 홍승희 기자

hs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