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민주주의 위기’ 강조한 尹대통령…2년 연속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2년 연속 5·18 기념식 참석…보수 대통령으로는 처음
“우리를 하나로 묶는 구심체”…국민 통합 메시지 강조
민주주의 위기 언급…“모든 세력·도전에 맞서 싸워야”
헌법 전문 수록 언급 없어…“반드시 계승해야할 자산”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3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정윤희·최은지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18일 취임 후 2년 연속으로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했다. 곳곳에 국민통합의 메시지를 담은 윤 대통령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기념사에서도 “오월 정신은 자유민주주의 헌법 정신 그 자체”라고 강조하며 “우리가 반드시 계승해야 할 소중한 자산”이라고 말했지만, 관심을 모았던 5·18 민주화운동의 헌법 전문 수록 여부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었다. 윤 대통령은 올해도 5·18 상징 노래인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했다.

윤 대통령은 빗방울이 떨어지는 가운데 이날 오전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개최된 제43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했다. 보수 정권 대통령이 2년 연속 5·18 기념식에 참석한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 앞서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은 취임 첫해에만 기념식에 참석했었다.

윤 대통령은 ‘오월의 어머니’ 15명을 5·18 민주묘지 정문인 ‘민주의 문’에서 직접 맞이한 뒤 동반 입장해 헌화 및 분향을 함께 했다. 통상 주요 인사들과 함께 입장하는 관례에서 벗어난 것이다. 윤 대통령은 오월의 어머니들께 “애통한 세월을 감히 헤아릴 수 없겠지만 희망을 잃지 않고 살아가시는 분들의 용기에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이는 지난해 취임 후 첫 국가기념일이자 첫 지역방문으로 5·18 기념식을 낙점한 것과 비슷한 맥락으로, ‘국민통합’에 대한 메시지를 담은 것으로 풀이된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국민의힘 소속 국회의원 100여명과 정부 부처 장관들, 대통령실 참모진들과 이날 기념식에 함께 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기념사에서 오월 정신에 대해 “우리를 하나로 묶는 구심체”라고 밝히며 “오월의 정신으로 우리는 모두 하나가 됐다”, “오월의 정신 아래 우리는 하나”라고 재차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민주주의의 위기를 언급하며 오월 정신으로 맞서 싸워야 한다고 밝혔다. 다만 어떤 위기인지 직접 언급하지 않고 “민주주의 위기를 초래하는 안팎의 도전”이라고 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미국 국빈 방문을 계기로 워싱턴 DC의 미 상·하원 합동회의 연설에서 “세계 도처에서 허위 선동과 거짓 정부가 진실과 여론을 왜곡하여 민주주의를 위협하고 있다”며 ‘전체주의 세력’을 지칭했었다.

윤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우리가 오월의 정신을 잊지 않고 계승한다면 우리는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모든 세력과 도전에 당당히 맞서 싸워야 하고 그런 실천적 용기를 가져야 한다”며 “민주주의의 위기를 초래하는 안팎의 도전에 맞서 투쟁하지 않는다면 오월의 정신을 말하기 부끄러울 것”이라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기념식 말미에 직접 팔을 힘차게 흔들며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했다. 이 역시 지난해에 이은 것으로 2년 연속 제창을 통해 ‘임을 위한 행진곡’을 둘러싼 논란에 종지부를 찍었다는 평가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의 경우 주변 사람들과 손을 잡고 흔들며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했다.

다만, 관심을 모았던 5·18 민주화운동의 헌법 전문 수록 여부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었다. 전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5·18 민주화운동을 헌법 전문에 수록하기 위한 ‘원포인트 개헌’을 제안했지만, 실현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관측이다.

대통령실은 이 대표의 제안에 대해 “국면전환용”이라며 불쾌한 기색을 내비쳤다. 그러면서 “헌법 전문 수록은 국민적 합의와 절차가 중요하다”며 “정당한 과정을 통해 헌법을 개정하는 계기에 5·18 정신을 반영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윤 대통령은 과거 대선후보 시절부터 수차례 광주를 방문해 5·18 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에 찬성한다는 입장을 밝혀 왔다. 다만, 개헌을 위해서는 국민적 합의와 국회의 숙의가 필요하다고도 강조했다.

silverpaper@heraldcorp.com
yun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