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친윤부터 쇄신”…與공부모임, “국힘에 애정없다”는 유인태 부른 까닭 [이런정치]
김기현, 당대표 당선 후 처음으로 참석…쇄신 드라이브 시동 걸지 주목
친노 유인태 “지난 대선 양당 후보 모두 ‘0선’…국회 정치 위기라는 뜻”
“윤석열, 이재명 ‘형사피의자’라도 만났어야…李, 전대 안 나가길 바랐다”
김기현 국민의힘 당대표와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9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의힘 국민공감 8번째 모임에 참석해 대화를 나누고 있다. 임세준 기자

[헤럴드경제=신현주 기자] 국민의힘 최대 규모의 친윤계 공부모임 ‘국민공감’이 9일 더불어민주당 원로 유인태 전 의원을 강연자로 초청해 쓴소리를 들었다. 박병석 민주당 의원이 이종섭 국방부 장관의 강연을 듣기 위해 자리한 적은 있었지만, 야권 인사가 연단에 선 것은 처음이다. ‘윤포탕’ 비판 후 국민공감과 거리를 두던 김기현 대표도 이날 참석했는데, 이를 두고 김 대표가 쇄신 드라이브에 시동을 거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유 전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민공감’ 모임에서 선거제 개혁을 통한 의회정치 실현과 국민의힘의 변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유 전 의원은 노무현 정부에서 대통령정무수석비서관, 민주당 3선 의원 등을 지낸 야권 원로다.

“쓴소리는 애정이 있어야 하는데 이 당에 애정이 없다”며 말문을 연 유 전 의원은 “우리나라처럼 소위 선진국이라고 하는 나라에서 의원 교체율이 50%가 넘는데, 21대 초선 의원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이렇게 많이 바뀌는 나라는 없다”고 지적했다. 유 전 의원은 “훌륭한 분들을 (국회에) 모셔다 놓고 국회의원을 4년 하면 국민인식 속에서 몹쓸 사람이 되는데 참 비극이라고 생각한다”며 “(국회 불신이) 지난 대선에서 주요정당 후보들이 다 0선이라는 비극을 불러왔는데, 경륜을 쌓은 훌륭한 재원이 각 당에 있음에도 (의원직을) 한 번도 수행 안 한 0선끼리 붙었다는 것은 우리 국회와 정치가 굉장히 위기라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유 전 의원은 “저는 이런 불행한 현실을 다당제, 3~4개의 주요 정당이 100여석씩 차지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제안했다. 그는 “저는 국민의힘도 다 그렇게 찍어내려고 하지 말고 ‘개혁 보수’라고 하는 사람들이 (선거제도가 바뀌면) 하나의 당을 만들고, 민주당 쪽도 ‘개딸’과 따로따로 가서 국민의 심판을 받아보는 것이 낫다”고 부연했다. 앞서 친윤계 의원들이 이준석 전 대표를 주축으로 한 개혁보수 세력 비판에 앞장 선 것을 비판한 것으로 풀이된다.

유 전 의원은 ‘상향식 공천’ 필요성을 언급했다. 유 전 의원은 “요새 흔히들 국민의힘이 공천에 대해 신경을 쓴다, 전부 거기에 목을 맨다고 한다”며 “저는 공천 문제는 당 지도부가 어디서 나서서 할 것이 아니라 모든 것은 경선에 맡기는 것이 제일 좋은 방법”이라고 부연했다.

김기현(왼쪽) 국민의힘 당대표와 유인태 전 국회 사무총장이 9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의힘 국민공감 8번째 모임에 참석해 인사를 나누고 있다. 임세준 기자

윤석열 대통령을 향한 비판도 이어졌다. ‘여야 간 극한 대립을 어떻게 해소할 수 있냐’는 질문에 유 전 의원은 “윤 대통령이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형사피의자라도 만났어야 했다”며 “전 원내대표였던 권성동 의원이 ‘박병석 중재안’이었던 검찰개혁법을 수용했다가 뒤집혔는데 이와 관련해 대통령실이 잘못한 것이 크다”고 답했다. 권 의원은 지난해 5월 검수완박 입법 당시 국회의장이었던 박 의원이 제시한 검수완박 법안을 받아들였지만, 당내 거센 반발에 부딪혀 합의를 철회했다. 유 전 의원은 이 대표를 겨냥해 “저는 이 대표가 대선에서 졌으면 당대표 선거에 안 나가기를 바랐는데 나갔다”고 비꼬기도 했다.

그는 국민통합의 중요 요소를 묻는 질문엔 “양당제가 대통령제와 맞물려 ‘잘하기 경쟁’보다 상대를 끌어내리는데 집중하고 있다”며 “민주당은 지금 내년 총선에 있어서 윤 대통령만 믿고 있고 국민의힘은 이 대표만 믿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그는 “적어도 양당제가 다당제로 바뀌어야 지금처럼 상대를 악마화하는 것이 많이 개선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번 강연은 ‘한국 정치, 이대로 괜찮은가’ 제목으로 진행됐지만 사실상 국민의힘의 ‘쇄신’을 위한 쓴소리를 듣고자 마련된 자리였다. 국민공감 관계자는 “잇따른 최고위원 리스크, 김 대표의 약한 민생정책 등으로 당 지지율이 악화하고 있지 않냐”며 “국민공감이 친윤계 최대 공부모임이라고 불리는 만큼 친윤계부터 변화하겠다는 메시지를 주려는 의도”라고 말했다. 김 대표가 당대표 당선 후 처음으로 국민공감에 참석한 이유도 이와 무관치 않다. 김재원, 태영호 최고위원이 징계 수순을 밟는 가운데 잇따른 지도부 리스크를 뒤로 하고 지지율 반등의 기회를 노리겠다는 취지다. 국민공감은 ‘쓴소리 강연’을 시리즈로 진행하는 안을 검토 중이며, 진중권 광운대 특임교수 등 야권 인사를 다음 강연자로 물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김재원, 태영호 최고위원 징계에 대해 “말씀드릴 내용이 없어 지켜보고 있다”고 말을 아꼈다. 선출직 최고위원 4명 중 절반이 징계 수순을 밟는 것이 ‘지도부 공백’으로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그는 “지도부가 여전히 존재하는데 지도부 공백은 아니다”며 “일부 결원이 발생할 수는 있지만 이것이 왜 공백이냐, 그럼 다른 지도부는 다 투명인간이냐”고 반문했다.

newk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