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결혼자금까지 투자했는데” ‘초딩 놀이터’ 된 메타버스의 배신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 = 김상수 기자]“이틀 연속 상한가 쳤네요. 역시 메타버스 갈아탄 게 신의 한 수.”(2021년 8월)

“메타버스 주식은 사는 게 아녔다. 이 정도면 전 세계 상대로 사기 친 거 아니냐?”(2023년 5월)

오래전 일도 아니다. 불과 2년 전. 맥스트는 코스닥에 상장하자마자 이틀 연속 상한가를 쳤다. 메타버스 테마주로 묶이며 뜨거운 관심을 받은 탓이다.

같은 날 또다른 메타버스 테마주로 불렸던 알체라는 “메타버스와 상관없다”는 공지 하나만으로 하한가까지 급락했었다.

[네이버증권]

그랬던 때였다. 그야말로 메타버스 광풍이었다. 당시 주식 토론방을 찾아보면, “결혼자금까지 투자했다”, “메타버스에 인생 건다”는 식의 글도 상당수다.

맥스트는 당시 4만8600원대까지 치솟았으나 2년가량 지난 지금, 1만1000원대까지 급감했다. 다른 메타버스 테마주도 상황은 대동소이하다.

여전히 메타버스는 성장 유망한 신사업일까? 최소한 현재까진 암울하기만 하다. 국내 메타버스 이용자는 100명 중 4명에 불과하고, 그 중 가장 많은 이용자 연령대도 6~10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상 오피스·가상 현실 시대를 열 것이란 기대와 달리, ‘초등학생 놀이터’로 전락한 셈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의 ‘메타버스 이용 현황 및 이용자 특성’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기준 메타버스를 이용했다는 사람은 4.2%에 그쳤다. 100명 중 4명꼴이다.

더 충격적인 건 이용자의 연령대. 가장 많은 연령대가 바로 6~10세 미만으로 20.1%를 차지했다. 유치원생부터 초등학교 저학년 연령대다. 그 뒤를 이은 연령대도 만 10~19세(19.1%)였다. 20대(8.2%), 30대(3.1%), 40대(2.5%)의 순이었다.

[출처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보고서]

메타버스를 이용한 플랫폼도 게임이 대부분이었다. 메타폴리스나 게더타운 등 가상 오피스·교육 기반 서비스의 메타머스 플랫폼은 각각 3.7%, 1.2%에 그쳤다.

가장 많이 이용한 플랫폼이 바로 닌텐도 게임인 ‘동물의 숲’. 26.9%를 차지했다. 마인크래프트나 로블록스 등 게임 기반 서비스가 주를 이뤘다.

메타버스를 쓰는 목적도 다르지 않았다. 설문조사에서 가장 많은 응답은 ”게임이나 월드 등 메타버스 콘텐츠를 즐기기 위해서(69.7%)”가 차지했다. 실제 메타버스 초기에 큰 기대가 쏠렸던 “업무 등에 필요해서”는 불과 2.1%에 그쳤다.

실제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도 급격히 하락하는 중이다. 구글트렌드의 ‘메타버스’ 관심도 추이를 살펴보면, 전무하다시피 했던 메타버스 검색 추이는 2021년 초부터 급격히 상승, 같은해 11월 정점을 찍은 후, 현재까지 꾸준히 하락세다. 현재는 정점 대비 22% 수준으로 떨어진 상태다.

메타버스 검색어 추이[출처 구글트렌드]

최근엔 전 세계 메타버스 기대치를 이끌었던 페이스북의 모회사 메타(META)마저 메타버스 투자 철회 의사를 표명했다. 이에 주요 투자 분석가들은 메타 투자의견을 상향조정하며 긍정적 평가를 내리고 있다.

월트 디즈니도 최근 메타버스 전략 개발 부서를 없앴고, 마이크로소프트도 최근 소셜 가상현실 플랫폼 알트스페이스VR을 폐쇄했다.

연구원 측은 “메타버스 서비스 기반을 확대하기 위해선 기성세대를 유인할 수 있는 업무나 교육, 소셜서비스 등으로의 콘텐츠 다양화 및 편의성 확보가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dlc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