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소아과 닫으면 어떡하나” 의료계 ‘부분파업’ 시작에 환자들 ‘발동동’
3일 의사·간호조무사 ‘부분파업’ 시작
의료연대는 2만명 참여 목표
병의원 단축진료에 시민들 진료 차질
17일 총파업 땐 ‘의료공백’ 우려도
간호법 제정에 반대하는 의료단체들이 부분파업에 돌입한 3일 서울 소재 한 의원이 단축진료를 공지한 모습. [대한의사협회 제공]

[헤럴드경제=박혜원 기자] “소아과는 요즘 어딜 가도 대기가 많아 진료 받기가 어려운데 급하게 다른 곳들을 알아보고 있다.”

간호조무사 등이 3일 부분파업을 시작으로 의료단체들이 본격적인 파업 일정에 돌입하면서 의료 공백 우려가 커지고 있다. 초등학생 자녀를 두고 있는 이모(40)씨는 헤럴드경제에 “오후에 아이와 소아과에 방문할 예정이었는데 단축진료를 한다는 안내가 왔다”며 이같이 말했다.

7세 자녀 둔 부모 김모(39)씨 “지금도 소아과는 사람이 많아 '오픈런'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오늘처럼 진료시간 단축 정도야 다른 병원을 알아보는 정도로 어떻게든 해결을 하겠지만 파업 규모가 더 커지면 2020년처럼 응급 환자가 '응급실 뺑뺑이'를 돌다 사망하는 사고가 아이에게 다시 벌어질까 걱정”이라고 했다. 직장인 최모(28)씨 역시 “감기 증상으로 동네에 하나 뿐인 내과에 퇴근 후 방문할 예정이었는데 오늘 단축진료를 한다고 해, 오전 반차를 내고 찾아왔다”고 했다.

이날 대한의사협회(의협), 대한간호조무사협회(간무협)을 비롯한 13개 보건의료단체로 구성된 보건복지의료연대는 오후 5시 30분부터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간호법 제정을 규탄하는 집회를 열 예정이다. 이를 위해 간호조무사들은 연가를 쓰고 참여하는 연가투쟁으로, 개별 병의원 의사들은 단축진료를 하는 방식으로 참여한다.

의료연대는 이날 연가투쟁 참여 목표 인원을 간무협 소속 간호조무사 1만명, 의사 등을 포함한 다른 직군까지 2만명으로 잡았다. 다만 이날 현재까지 정확한 참여 인원은 추산되지 않았다. 박명하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장(서울시의사회장)은 “자율 참여를 독려하고 있는만큼 참여 인원을 별도로 추산하지는 않고 있어, 집회가 시작되는 늦은 오후에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헤럴드경제가 서울 시내 병·의원 10곳에 연락한 결과 3곳이 부분파업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서울 노원구의 한 내과의원은 이날 6시까지인 종료시간을 2시간 앞당기고, 도봉구의 한 치과의원은 4명이던 간호조무사 중 1명이 연가를 냈다. 이에 일부 시민은 진료 시간을 옮기는 등 차질을 빚기도 했다.

다만 병의원급에서 단축진료 규모로만 파업이 진행된 연가투쟁 기간에는 ‘의료공백’ 사태로까지는 번지지 않을 전망이다. 박 위원장은 “대학병원에선 간호조무사가 간호 보조를 부분적으로 맡고 있어 연가투쟁으로 인한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며 “연가투쟁 시에는 평소보다 일찍 문을 닫거나, 인력이 부족해 대기 시간이 길어지는 정도의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했다.

다만 의료연대 예고대로 간호법에 대한 대통령 거부권이 행사되지 않고 오는 17일 총파업이 전개된다면 현장에 적지 않은 혼란이 발생할 전망이다. 파업 참여 시 환자 진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공의 단체 대한전공의협의회는 16일까지 상황을 지켜본 뒤 총파업 참여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계획이다. 의협 역시 11일까지는 병의원과 중소병원 위주로, 17일에는 대형병원 단위로 참여 규모를 키운다는 계획이다. 서울 소재 한 대학병원 교수는 “동네 병의원급에선 진료 차질이 생겨도 큰 문제로 번지지 않지만 중환자실이나 응급실이 있는 대학병원으로 파업이 번질 경우 2020년 의대 정원 반발 파업 때와 같은 의료공백 대란이 발생할 수 있다”고 했다.

한편 의료연대는 지난달 27일 국회를 통과한 간호법 제정안이 간호사에 특혜를 주는 법안이라는 입장이다. 특히 ‘지역사회 간호’라는 표현으로 향후 간호사가 단독 개원을 할 수 있는 여지가 생겼다며 반발하고 있다. 전날 의료연대는 기자회견을 열고 “(간호법이 시행되면) 1차 의료기관들이 간호사들이 운영하는 돌봄센터와 경쟁하게 돼 경영난에 시달리고, 2·3차 의료기관들은 간호사 인력난으로 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며 “간호사보다 규모나 영향력 등에서 힘이 없는 약소 직역들이 벼랑 끝으로 내몰릴 것”이라고 주장했다.

k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