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임창정의 ‘소주한잔’ 믿었는데” 불똥은 왜 세븐일레븐으로...
올 봄·여름 시즌 겨냥 핵심 상품
프랑스계 SG발 무더기 하한가 사태
금융당국·검찰, 주가조작 강제 수사
세븐일레븐이 가수 임창정 씨와 협업해 ‘임창정의 소주한잔’을 출시한 가운데, 임창정 씨의 소주한잔 출시 기념 팬사인회 모습 [세븐일레븐 제공]

프랑스계 증권사 소시에테제네랄(SG)발 무더기 하한가 사태가 세븐일레븐으로도 불똥을 튀기고 있다. 세븐일레븐은 현재 주가조작 피해자라고 주장하고 있는 가수 임창정 씨와 지난 1년여간 손잡고 단독 상품인 소주를 만들어왔기 때문이다. 이 소주는 올해 성수기인 봄·여름 시즌을 노린 세븐일레븐의 핵심 상품이다.

2월에 출시된 이 증류식 소주는 ‘임창정의 소주한잔(375㎖·1만4900원)’으로 세븐일레븐은 ‘임창정의 소주한잔’을 GS25의 ‘박재범 소주’, CU의 ‘윤미래 소주’와 경쟁하는 올해 주력 제품으로 낙점한 상황이었다. 이른바 ‘편의점 연예인 소주’ 삼국지 대전이 막이 오른 차였다.

‘임창정의 소주한잔’은 23도 증류식 소주로, 정제수와 100% 국내산 쌀 증류원액으로만 이뤄진 소주다. 지난달 5일에는 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 야외공간에 ‘소주한잔’ 임시매장이 이틀간 문을 열었다. 이 자리에는 임 씨가 직접 참여하는 팬사인회가 열렸다. 세븐일레븐을 운영하는 최경호 코리아세븐 대표도 이날 팝업 매장 현장을 찾았을 정도로 내부에서도 관심이 집중된 상품이 바로 ‘임창정의 소주한잔’이었다.

그런데 금융당국과 검찰이 SG증권 사태와 관련해 주가조작 세력이 개입한 정황을 포착하고 강제수사에 착수하면서 분위기가 반전되고 있다. 임창정 씨가 주가조작 세력에 30억원을 맡긴 것으로 알려지면서, 세븐일레븐이 임 씨에게 로얄티를 지불해 제작한 ‘임창정의 소주한잔’ 상품도 ‘양날의 검’이 됐기 때문이다. 임 씨는 자신이 운영하는 프렌차이즈 사업체인 ‘소주한잔’ 지분도 주가조작 세력에게 넘겼던 것으로 전해졌다.

임창정 씨는 자신도 피해자라는 입장이다. 다만 임창정이라는 이름을 믿고 사업을 확대한 세븐일레븐은 이번 사태를 조사하는 금융당국과 검찰의 수사 결과에 따른 위험 부담을 지게 됐다. ‘임창정 소주한잔’은 말 그대로 임창정이라는 사람이 가진 브랜드에 큰 비중으로 의존하는 세븐일레븐 단독 상품이기 때문이다.

세븐일레븐은 ‘임창정 소주한잔’을 탄생시키기 위해 임 씨와 술제조업체인 ‘조은술세종’과 함께 100여차례의 수정·보완을 거쳤다. 특히 히트곡 ‘소주한잔’ 타이틀을 전면에 내세운 상품이었기 때문에 임 씨가 원재료 선정과 병 디자인 등 제작 과정 전반에 직접 참여했다. 출시 3일 만에 이 상품은 세븐일레븐 증류식 소주 카테고리 매출 1위를 기록했다. 전체 소주·전통주 매출에서도 5위에 올랐다. SG증권 사태가 불거진 4월 넷째주 기준으로도 ‘임창정 소주한잔’은 증류식 소주 카테고리에서 부동의 매출 1위를 지켰다. 세븐일레븐 관계자는 “‘임창정 소주한잔’ 관련, 현재로서는 바뀐 프로모션 계획이나 판매 중단 일정 등은 없다”고 했다.

최근 유통가에는 상품명에 유명인의 이름을 포함시켜 광고하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 6년 만에 2월 다시 출시된 ‘김혜자 도시락’이 대표적이다. 고물가로 외식비 부담이 커지면서 지난해 말부터 편의점들은 가성비 높은 편의점 도시락 상품 기획에 전념했다. GS25의 경우 새로운 브랜드 모델을 선정하기 보단, 배우 김혜자 씨를 찾아 상품을 재출시 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짰다. 이름을 딴 도시락이 알차서 생긴 ‘혜자한’ 이미지를 놓칠 수 없었던 것이다.

반면 2월 배우 유아인 씨가 프로포폴 불법 투약과 대마 흡입 의혹 등으로 경찰 수사를 받게 되면서 그를 모델로 기용한 유통기업은 이미지 타격이 불가피해졌다. 유아인을 모델로 기용한 브랜드인 무신사, 종근당건강, 오뚜기, 네파 등은 줄줄이 기존 광고를 삭제하거나 계약 해지를 검토하고 있다.

SG증권 사태로 인한 여파가 일파만파 확대되는 가운데, 금융당국과 검찰의 칼끝이 끝내 ‘임창정의 소주한잔’의 운명까지 가르게 됐다. 고작 4거래일간 8개 종목의 시가총액 8조2000억여원이 증발했다. 주가조작에 관여한 것으로 의심받는 10명은 출국이 금지된 상태다. 피해자(혹은 공범자)가 200여명에 이르고, 동원된 자금 규모는 8000억원대로 추정된다. 이정아 기자

ds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