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첫 회의 앞둔 與 윤리위, 높아진 ‘양두구육’ 눈높이 맞출까[이런정치]
5월 1일 첫 회의서 ‘김재원·태영호 징계 개시 여부’ 논의할 듯
과거 망언 논란 경징계…“이준석 징계가 기준 높여”
중징계 시 반발 우려도…태영호 ‘정치적 소신’ 판단 쟁점
국민의힘의 김재원 최고위원(왼쪽)과 태영호 최고위원. [연합]

[헤럴드경제=김진·신현주 기자] 최근 새롭게 구성된 국민의힘 윤리위원회가 설화(舌禍) 논란을 빚은 김재원·태영호 최고위원의 징계 개시 여부를 다음 달 1일 결정할 전망이다. 윤리위가 두 달 넘게 이어진 논란의 종지부를 찍을지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이준석 전 대표 징계 사례가 발목을 잡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28일 헤럴드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국민의힘 윤리위는 5월 1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첫 회의를 열 예정이다. 황정근 변호사가 위원장을, 판사 출신 전주혜 의원이 부위원장을 맡고 나머지 7명은 비공개 선임됐다. 이들은 첫 안건으로 김·태 최고위원의 징계 개시 여부를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3·8전당대회에서 최다 득표로 당선된 김 최고위원은 당선 직후 극우 성향의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목사 예배에 참석해 ‘5·18 정신 헌법수록 반대’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켰다. 이후 ‘전광훈 우파 천하통일’, ‘제주4·3 폄훼’ 발언 등으로 한 달 동안 논란의 중심에 섰다.

태 최고위원은 전대 당시 ‘4·3은 북한 김일성의 지시’ 발언으로 유족 등의 항의를 받았고, 이후 ‘백범 김구 선생은 김일성의 통일전선 전략에 당한 것’이란 주장으로 논란을 일으켰다. 민주당을 비판하며 기독교복음선교회(JMS)를 인용한 게시물도 부적절한 표현으로 비판 받았다.

이에 제주4·3희생자유족회 등 도내 70여개 단체는 최근 두 사람을 윤리위에 정식 제소했다. 태 최고위원은 JMS 논란 이후 사과의 뜻으로 ‘셀프 제소’를 하기도 했다. 윤리위는 이들에 대한 징계 개시가 결정되면 향후 회의에서 소명 기회를 주게 된다.

당에서는 “윤리위가 또 다른 논란을 일으켜선 안 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김·태 최고위원과 관련된 윤리위 논의가 총선을 1년 앞두고 하락세인 당 지지율을 반등시키는 계기가 돼야지, 추가 하락을 가져올 기폭제가 돼선 안 된다는 우려다.

최대 쟁점인 징계 수위를 놓고선 ‘헌정사 최초의 당대표 징계’로 국민들에게 각인된 직전 윤리위의 결정이 새 윤리위의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통상 설화로 인한 윤리위 징계는 당원권 정지 3개월 수준의 경징계에 그쳤다”며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 시절 5·18 망언 논란을 빚은 김순례 의원 사례를 언급했다. 그러면서도 “이양희 윤리위원장 체제를 거치며 기준이 높아졌다”며 “과거 기준에 맞춘다면 ‘제 식구 감싸기’라는 비판이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직전 윤리위원장인 이양희 교수는 이준석 전 대표의 양두구육 발언 이후 ‘당원권 정지 1년’의 중징계를 결정하고, 성 상납 의혹에 추가 6개월 정지 결정을 내렸다. 이 전 대표 역시 앞서 “양두구육 사자성어를 쓰면 1년 징계고, 전광훈 목사나 5·18에 대해 뭐라 하는 건 무징계냐”며 당의 징계 수위를 주시하고 있다.

다만 황정근 국민의힘 윤리위원장은 헤럴드경제와 통화에서 “이 전 대표의 실제 징계 사유는 당 전국위원회 소집 금지 가처분을 함으로써 당의 정당행위를 방해하고 사실상 해당 행위를 했기 때문이지, 양두구육 발언과는 관계가 없다”며 “이 전 대표와 김 최고위원은 비교대상이 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당 일각에서는 중징계 가능성도 거론되지만, 윤리위는 지난해 여름 수해 관련 설화로 ‘당원권 정지 6개월’ 처분을 받은 김성원 의원의 사례 등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당 내에서는 당원권 정지 1년 이상이 나올 경우 내년 총선 공천에서 배제되는 만큼 당사자 반발이 당 내 분란으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태 최고위원과 관련해서는 5.18 망언 논란 당시 스스로 윤리위에 제소한 김병준 자유한국당 비대위원장이 ‘주의’ 조치에 그친 점이 거론된다. 아예 징계 절차가 개시되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있다. 한 중진 의원은 “(역사 관련 발언이) 정치적 소신이라고 주장하고 있기 때문에 재고할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태 최고위원은 앞서 최고위원회 모두발언에서 “야당 비판(JMS)은 업무상 해프닝이었고 역사 문제에 대해서는 소신대로 말씀 드린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soho0902@heraldcorp.com
newk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