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복지부 장관 “간호법 통과하면 의료현장 혼란으로 국민 건강권 침해”
“간호사 등 의료인 역할, 의료법 체계에서 논의해야”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2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헤럴드경제=손인규 기자]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국회 본회의 상정을 앞둔 간호법 제정안과 관련, 다른 직역 단체들이 반대하고 있어 결과적으로 국민 건강권이 침해될 수 있다며 법 통과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조 장관은 2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료현장은 직역 간 유기적 협력이 중요한데 13개 보건의료단체가 간호법 제정을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며 “국회에서 통과되면 협업을 어렵게 하고 의료현장의 혼란이 야기돼 결과적으로 국민 건강권 침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간호법이 제정되면 한의사, 물리치료사 등 각 직역들의 독립법 제정 요구도 분출할 수 있다”며 “간호사뿐 아니라 여러 의료인 역할을 같이 변경해야 해 의료법 체계에서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간호법은 의료법의 간호사에 대한 규정을 떼어 별도로 만든 법으로, 간호사의 업무 범위에 대한 정의와 적정 노동시간 확보, 처우 개선을 요구할 간호사 권리 등을 담고 있다.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여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27일 국회 본회의에 상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의사단체와 간호조무사단체 등은 파업을 예고하며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조 장관은 간호법과 함께 여당이 본회의 상정을 예고하고 있는 의료법 개정안에 대해서도 반대 의사를 밝혔다. 개정안은 의료인이 모든 범죄로 금고 이상의 형(선고유예 포함)을 받을 경우 면허를 취소하는 내용을 담았다.

조 장관은 “모든 범죄로 의료인 면허를 취소하는 것은 필요 최소한만, 대상이 되는 자격 조건에 대해서만 하도록(면허 결격사유를 정하도록) 한 행정기본법과 맞지 않는다”며 “당정에서는 모든 범죄 대신 의료 관련 법령, 성범죄, 강력범죄를 대상으로 하도록 대안을 제시한 바 있다. 본회의에서 의결되기 전에 충분한 협의가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조 장관은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비대면 의료의 수가(의료 행위의 대가)와 관련해서는 “비대면 진료에서 의료인 수고가 더 드는 것이 사실”이라며 비대면 진료에 일반 진료보다 더 높은 수준의 수가를 적용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날 더불어민주당 서영석 의원은 비대면 진료 플랫폼 닥터나우의 대표가 윤석열 대통령 방미에 동행하는 경제사절단에 포함된 것에 대해 “비대면 진료 제도화의 전초전이냐”고 질의했다.

이에 대해 조 장관은 “닥터나우가 어떻게 방미 참여업체가 됐는지 모르겠지만, 이 업체는 약 배송 말고 디지털 헬스와 관련한 다른 사업도 하고 있다. 비대면진료(제도화)를 위해 경제사절단에 추천한 적 없다”고 설명했다.

iks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