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尹 외교 굴욕 넘어 재앙"…성균관대 교수 시국선언

24일 오전 서울 성균관대학교 앞에서 성균관대 교수·연구자들이 '윤석열 대통령 방미와 취임 1주년에 즈음한 성균관대 교수·연구자 시국선언과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을 위해 24일 국빈 방미 일정을 시작한 가운데, 성균관대 교수·연구자 248명이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을 비판하는 시국선언을 냈다.

성균관대 교수·연구자들은 이날 오전 성균관대 명륜캠퍼스 정문 앞에서 정부의 외교 행보에 문제를 제기하고 국정 전반의 쇄신을 요구하는 시국선언을 발표했다.

시국선언문에는 성균관대 교수와 연구자 248명이 서명했다.

이들은 정부가 지난달 발표한 일본 강제동원 배상안 철회와 외교 인사 문책 등을 촉구했다. 그러면서 "군사적 긴장 상태에 놓인 한반도에서 능동적으로 균형을 잡지 못하는 외교는 무능과 굴욕을 넘어 재앙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불거진 미국 정보기관의 대통령실 도·감청 의혹에 대해서는 "미국 패권의 본질과 이 정권의 미국에 대한 태도가 얼마나 일방적인지 드러났다"면서 "대통령이 국익과 한반도 평화를 생각한다면 외교·안보 정책을 전면 재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임경섭 성균관대 사학과 교수는 "윤 대통령의 계속되는 외교 망언으로 한국이 전쟁에 말려들지도 모르는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며 "국민 동의 없이 전쟁을 야기할 우려가 있는 어떤 직간접의 도발 행위도 허용돼선 안 된다"고 비판했다.

미국을 국빈 방문하는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24일 성남 서울공항에서 공군 1호기에 탑승, 환송객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초청으로 이날부터 5박 7일 일정으로 미국을 국빈 방문한다. 국빈 방미는 2011년 이명박 당시 대통령 이후 12년 만이다. [연합]

함세웅 신부 등 민주화 원로인사들로 구성된 '검찰독재·민생파탄·전쟁위기를 막기 위한 비상시국회의 추진위원회'도 이날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한미일 군사동맹은 유사시 한반도가 미국 대리전의 전방 기지화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미국에 일본의 재무장은 대한민국 국민이 절대 용인할 수 없다고 천명하고, 미국 정보기관의 대통령실 도청에 대해 사과와 재발 방지 약속을 받아내야 한다"고 촉구했다.

paq@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