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은행 점포 축소’ 새로운 대안...발길 끊긴 ‘구도심 점포’ 어린이집으로 [70th 창사기획-리버스 코리아 0.7의 경고]
서울·6대 광역시 제외 300개 지점 폐쇄
은행 소유건물 개발 지역 공헌 활용

금융당국이 일방적인 은행 점포 폐쇄에 제동을 건 가운데 전문가들은 이용객이 적은 구도심 점포 활용에 대한 더 다양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조언을 내놓고 있다. 구도심 점포 일부를 어린이집 등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그중 하나다. 저출생 문제 등 한국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해결에 금융권이 적극적으로 나서는 첫 단추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2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은행의 지점 수는 약 4980개로, 2018년(5734개)보다 750개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 및 6대 광역시를 제외한 지방에서만 약 300개가량 지점이 문을 닫은 것으로 조사됐다.

은행 점포 축소는 지역민의 금융 접근성을 훼손할 뿐만 아니라 지역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실제 금융경제연구소가 지난 2월 내놓은 ‘은행 영업점 축소 파급효과 분석과 은행권 대앙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지역별로 은행 지점 수가 1% 늘어날수록 지역내총생산(GRDP)은 0.31%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위원회가 은행 점포 축소 속도조절에 나선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하지만 금융권에선 단순히 점포 축소에 제동을 걸기보다 기존의 점포를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예컨대 이용객이 적은 은행 점포 건물에 어린이집 등 지역민이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을 창출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특히 구도심 점포들이 활용 가능성이 큰 곳으로 꼽힌다. 건물이 은행 소유인 경우가 많은 데다 지방에 비해 비대면 서비스를 활용하는 청년층 비율이 높고, 밀집된 인구 대비 점포 수가 많기 때문이다.

실제 헤럴드경제가 최근 5년치 지역별 인구 및 국내 은행 점포 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서울 및 6대 광역시의 은행 지점당 인구수 평균은 1만111명으로, 이를 제외한 4개 권역(강원·경상·전라·충청) 평균(1만5371명)과 비교해 5000명이 적은 수준이었다. 비대면에 익숙한 청년층 비율이 높은 도시 지역에서 되레 인구 대비 은행 접근성이 좋게 나타난 셈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구도심의 경우 은행들이 점포와 함께 작은 규모의 부동산을 소유한 경우가 많은데 여유공간을 통해 지역민이 활용할 수 있는 쉼터 등을 만드는 움직임이 간혹 있었다”며 “은행이 소유한 건물 공간을 개발해 지역 공헌에 활용한다면 주민들의 반응도 좋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제도적 문제도 일정 부분 해소된 상태다. 2014년까지만 해도 은행 보유의 건물을 임대할 때 직접 사용 면적이 50%를 넘지 못하는 규제가 있었다. 그러나 2015년 은행업 감독규정이 개정되며, 은행의 임대 가능 부동산 면적이 기존 1배에서 9배로 완화됐다. 10층짜리 건물의 경우 1개층만 점포로 활용하면 나머지 9개층을 여타 목적으로 쓸 수 있다는 얘기다.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는 “비대면 시대에 수익과 관계없이 무작정 점포 축소를 막는 움직임도 바람직하다고는 볼 수 없다”며 “차라리 점포 규모를 축소하더라도 여유공간을 어린이집 등으로 전환하는 움직임이 확산되면 최근 문제가 되는 저출산 및 인구감소 현상에도 일정 부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광우 기자

w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