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IT과학칼럼] ‘분산에너지 시대’ 코앞, 에너지효율 설계가 핵심

에너지산업은 생산과 소비가 같이 행해지는 ‘프로슈머’ 시대에 이미 들어섰다. 대규모 발전소와 송전망으로 이뤄진 공급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급전환되고 있다. 환경 문제, 기술 진보로 앞으로 에너지생태계는 경제성 같은 과거 기준만으론 유지하기 어렵게 됐다. 뿐만 아니라 수요자가 직접 에너지를 공급하는 기술·경제적 토대가 형성됨에 따라 ‘분산에너지 시대’가 눈앞에 닥쳤다.

지난 3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안’이 3년 만에 국회 상임위를 통과했다. 대규모 발전과 장거리 송전으로 야기되던 갈등을 줄이고 친환경 고효율 분산에너지 확대가 기대된다. 분산에너지가 국가 에너지정책 주요 의제로 등장한 지도 10년이다. 2013년 분산에너지 목표가 제시된 이후 올해 10차 전력수급계획에 이르기까지 번번이 분산에너지 목표는 높아지고 있다. 유럽, 미국에서는 ‘에너지의 다원화·지역화·분권화’가 정착 단계다. 이를 안정적 전력 수급과 에너지절감에 기여하는 친환경 전원으로 간주해 다양한 지원도 해준다.

수도권처럼 전력 소비가 많은 지역은 대규모 송전망을 통해 동해나 서해안에서 전기를 끌어와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계획대로 건설되는 송전선로를 찾아보기 어렵다. 지역갈등으로 계속 지연돼 언제 건설될지 아무도 모른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최근 대규모 태양광, 풍력마저 늘어나 추가 송배전 수요마저 유발하고 있다. 이럼에도 여전히 예전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은 시대착오적이다. 에너지 분산은 발상의 전환과 새로운 접근 방식을 찾아야 한다. 분산에너지 확대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현실적 수단부터 시작하면 된다. 공장, 빌딩, 아파트단지에 열병합 시스템이나 연료전지를 설치하면 에너지 수요의 많은 부분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에너지 다소비자의 에너지자립도가 높아진다. 당연히 송전 수요 유발도 크게 줄일 수 있다.

비현실적 규제를 조금만 풀어도 분산에너지가 들어갈 수 있는 곳은 많다. 일례로 현재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에 의무적으로 설치하는 비상발전기에서도 단초를 찾을 수 있다. 전국에 8만여대의 비상발전기가 설치돼 있으며, 대부분 디젤엔진 발전기다. 이를 용량으로 환산하면 25GW, 500MW급 발전소 50기에 해당하는 엄청난 규모다. 그러나 비상발전기는 상시전원으로 활용할 수 없다. 멀쩡히 설치는 해놨지만 아무런 역할도 하지 못한 채 녹슬어 있다. 비상발전기를 가스엔진과 같은 고효율 열병합 발전 시스템으로 대체해 활용할 수 있다면 대규모 온실가스와 발전소 감축, 송배전설비 투자를 줄일 수 있다.

분산전원은 공동주택과 건물, 공장에서 필요한 에너지를 생산하고 버려지는 폐열을 난방과 온수로 재활용한다. 에너지효율도 80% 이상으로 매우 높다. 앞으로 수소에너지, 바이오에너지 등 탄소중립 실현이 가능한 신재생에너지 연료를 사용하는 대형 MW급 분산형 발전 시스템 확대를 위한 기술 및 플랫폼 기반이 될 수 있다. 분산전원을 설치하면 전기와 열을 동시에 생산한다. 비상시 예비 전원뿐 아니라 상시 에너지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 태양광, 풍력과 같은 재생에너지와 연계하면 날씨에 영향받는 불안정한 재생에너지의 특성도 보완해준다.

분산에너지 보급과 산업 육성에는 ▷부존자원의 개발 ▷에너지효율성 제고를 중심에 둬야 한다. 무엇보다 ‘주민 참여와 공동체에 의한 에너지생태계 구축’이라는 측면에서 실효성을 높이는 방향이 돼야 한다.

이창호 가천대 에너지시스템학과 교수

freihei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