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포스코, ‘페로크롬’ 초도 시범방출…“희소금속 수급 장애 대비”
10일부터 광해광업공단과 군산서 포항제철소로 이송
희소금속 시범방출 기념행사…원료 공급 안정성 제고
[포스코 제공]

[헤럴드경제=정찬수 기자] 포스코가 한국광해광업공단과 정부에서 추진하는 희소금속 비축제도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초도 시범방출을 했다고 14일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광해광업공단, 포스코는 정부가 비축 중인 희소금속의 방출 절차를 점검하기 위해 군산 광해광업공단 창고에 보관된 희소금속 가운데 ‘페로크롬’을 포항제철소로 시범방출하기로 하고, 지난 10일부터 이송 작업을 진행 중이다.

포스코는 13일 포항제철소에서 성공적인 시범방출을 기념하기 위한 행사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사재정(사진 왼쪽부터) 포스코플로우 포항물류그룹장, 박소현 포스코 니켈크롬섹션 리더, 허선희 한국광해광업공단 전략산업비축팀장, 박광복 한국광해광업공단 비축사업처장, 이승준 산업통상자원부 주무관, 조용석 포스코 STS제강부장, 임병호 포스코 STS원료그룹장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포항제철소 내 페로크롬의 입고 프로세스를 점검하고, 향후 정부의 금속비축 제도를 활용하기 위한 협의를 진행했다.

이번 시범방출은 지난해 12월 정부가 글로벌 공급망 위기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수립한 ‘금속비축 종합계획’의 일환이다. 정부는 금속비축 종합계획을 수립하면서 희소금속 수급 장애 발생 시 방출 기간을 60일에서 30일로 단축하고, 심각한 공급장애가 발생할 경우 최단 8일 이내에 방출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했다.

지난 1월에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철강, 이차전지, 전기차, 반도체 산업에 필수적인 핵심광물의 수급 위기 시 민-관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광해광업공단과 포스코 등 산업별 대표 수요기업 간 민-관 금속비축 상호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협약도 체결했다.

정부의 희소금속 비축 전담 기관인 광해광업공단과 최대 수요처인 포스코는 방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장애요인 해소와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절차를 꾸준히 협의해왔다. 페로크롬은 남아공, 인도 등 원거리 공급원에 전량 의존하고 있다.

박효욱 포스코 원료2실장은 “이번 시범방출은 글로벌 공급망 위기 대응을 위한 민-관 협력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포스코는 향후 페로크롬 이외에도 타 품목으로 확대 추진을 고려하는 등 비축제도 활성화를 위해 정부와 긴밀히 협업하겠다”고 말했다.

and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