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삼성이 60조나 투입하는 진짜 이유?…지방민 2명 중 1명 “우리 지역 사라질 수도”
삼성디스플레이가 충남 아산에 4조1000억원 투입 계획을 발표하며 삼성의 60조원 투자 첫발을 뗐다. 지난 4일 ‘디스플레이 신규 투자 협약식’에 참석한 최주선(앞줄 왼쪽부터) 삼성디스플레이 사장, 문성준 삼성디스플레이 협력사 대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윤석열 대통령, 김태흠 충남지사, 박경귀 아산시장,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연합]

[헤럴드경제=정태일 기자] 수도권 외 거주하는 지방민 2명 중 1명은 자신의 지역이 향후 소멸할 수 있다는 위기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의 일자리 개선과 인프라 확충이 최우선 과제로 꼽히는 가운데, 앞서 삼성이 충청·경상·호남 등에 10년간 60조원을 투자한다고 밝혀 이 같은 대책이 지역 경제 활성화 마중물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11일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수도권 외 지역 거주 만 18세 이상 국민 1000명 대상 ‘지역경제 현황 및 전망’을 조사한 결과, 지방민의 49.4%는 거주지역이 소멸될 것이라고 전망했고, 이 중 64.0%는 20년 이내에 소멸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지역소멸이란 경제위축, 일자리 감소, 저출산고령화 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교육, 경찰, 소방 등의 행정기능을 포함한 지역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의미한다.

지역별로 6개 시도(경북 66.7%, 전북 64.8%, 울산 60.0%, 전남 58.5%, 강원 54.2%, 대구 50.9%)에서는 지역이 소멸될 수 있다는 응답이 절반을 넘었다. 반면, 8개 시도(부산 48.6%, 제주 45.5%, 대전 44.4%, 충북 43.1%, 경남 42.5%, 충남 41.3%, 광주 37.7%, 세종 20.0%)에서는 지역소멸 가능성을 상대적으로 낮게 봤다.

그럼에도 전체적으로 지방민의 41.1%는 미래에 거주지를 떠나 수도권으로의 이주를 희망한다고 응답했다. 세대별로 20대(64.4%), 30대(41.7%), 40대(39.2%), 50대(36.1%), 60대 이상(28.3%) 순이었다. 수도권 전입을 희망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20대가 60대 이상보다 약 2.3배 높았다.

수도권으로 이주를 희망하는 주요 이유로 열악한 일자리 여건(47.4%)을 가장 많이 꼽았고, 문화·휴식시설의 부족(20.9%), 보건·의료시설 접근성 미흡(20.4%) 등이 뒤를 이었다.

경상북도 포항시 포항철강산업단지 인근 공단의 한 업체 건물 입구가 자물쇠로 굳게 잠겨 있는 모습 임세준 기자

이 같은 요인의 근본적 원인은 지역경제 위축으로 실제 지방민의 71.2%는 올해 지역경제가 작년보다 나빠질 것이라고 응답했다. 올해 체감경기 수준은 작년의 82.5% 수준에 그쳤다. 작년 지역경제를 100이라 할 때, 올해의 지역경제 수준이 100미만은 악화, 100초과는 개선을 뜻한다.

지역별로는 전년 대비 광주(77.8%), 전북(78.2%), 충북(79.8%), 부산(80.4%), 전남(80.5%), 제주(80.7%), 대구(81.4%), 경북(82.2%)은 전체 평균(82.5%)보다 낮았다.

지방민의 72.0%는 올해 지역 일자리가 작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체감일자리 수준은 작년의 82.5%에 불과했다. 지역별로는 전년 대비 전북(75.8%), 광주(77.7%), 부산(78.0%), 전남(79.0%), 충북(80.3%), 대구(80.6%), 제주(81.6%), 경북(81.6%)은 전체 평균(82.5%)보다 더 줄어들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지방민들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로 ▷지역산업 활성화 등 지역 일자리 여건 개선(53.5%), ▷생활 인프라(쇼핑·병원 등) 구축(19.3%) 등을 지적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지방의 청년인구 유출을 막기 위해서는 지역경제의 활성화로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라면서, “관광산업 활성화와 함께 지역의 성장동력 발굴․육성노력이 긴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전국에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삼성전기 등 주요 계열사의 사업장을 중심으로 제조업 핵심 분야에 향후 10년간 총 60조1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충청·경상·호남 등 지역이 주요 투자 대상으로 반도체 패키지, 최첨단 디스플레이, 차세대 배터리 등 한국 핵심 사업에 대규모 투자를 집행해 국내 주요 지역을 글로벌 생산 거점으로 키운다는 전략이다.

killpas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