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與 “한전·가스공사, 2026년까지 28조원 규모 비용절감 추진”
“국민이 ‘그만하면 됐다’고 할 때까지 뼈와 살 깎는 노력해야”
박대출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이 6일 국회에서 열린 양곡관리법 재의요구 후속대책 관련 민·당·정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신현주 기자] 한국전력공사와 가스공사는 6일 2026년까지 각 14조원, 총 28조원 규모의 비용을 절감하겠다는 계획을 전달했다. 아울러 당정은 에너지 요금 조정 시 취약계층 지원 확대 및 분할 납부, 캐시백(적립금) 제도 등 다양한 국민 부담 경감 방안도 제시했다.

박대출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전기·가스 요금 관련 민·당·정 간담회 후 브리핑에서 “한전과 가스공사는 비핵심자산을 매각하고 공급 안정성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고강도 긴축경영을 통한 비용 절감을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박 의장은 “비핵심 자산 매각, 공급안정성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착수시기 조정, 고강도 긴축경영을 통한 비용절감 등으로 각각 26년까지 총 14조원, 합치면 총 28조원 규모의 자구노력을 강도높게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저는 ‘이 정도로 국민이 동의할 수 있을 것인지 깊이 더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고 국민이 ‘그만하면 됐다’고 할 때까지 뼈와 살을 깎는 구조조정노력을 선행해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고 했다.

박 의장은 “요금 미조정 시 파급영향이나 요금을 조정할 경우 취약계층을 어떻게 지원할 수 있는지, 지원을 확대하는 것, 그리고 소상공인의 요금 분할납부제도를 조기시행해 부담을 덜어주는 제도, 에너지 캐시백 제도 활성화 등 다양한 국민 부담 경감방안을 논의했다”고 부연했다.

일반 가스요금 정상화 보다 산업 가스요금을 현실화 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박 의장은 “종합적으로 방향을 정해야 한다”며 “지금 하나의 방향을 예단하는 것은 부적절한 결론으로 갈 수 있기 때문에 조금 더 바람직한 해답을 찾기 위해선 편견 없이 이야기를 듣고 수렴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는 “산업계의 의견도 듣겠다”고도 했다.

앞서 당정은 2분기 전기·가스 요금을 동결하며 장기적으로는 요금 인상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박 의장은 인상 시점이 구체화됐는지 묻자 “지금은 결론을 내는 과정이 아니다”며 “지금은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지난번에도 말했던 것처럼 이해해달라”고 신중론을 이어갔다.

newk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