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창양 산업 장관 "수출 예산 신속집행·현장애로 해소”
범부처 수출상황점검회의 주재
"한일정상회담 계기로 일본시장 진출 확대 노력"
이창양 산업부 장관이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회 범부처 수출상황점검회의를 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 우리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해오던 수출이 침체의 터널에서 벗어나지 못하자 정부가 관련 예산을 속도감 있게 집행하고, 현장의 애로를 적극적으로 해소해 나가는 방안을 모색해 나가기로 했다.

수출은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3월까지 6개월 연속 감소하고, 무역적자는 13개월째 이어지는 상황이다. 1~3월 누적 무역적자액은 250억달러에 육박하면서 지난해 전체 무역적자액(478억달러)의 절반가량에 이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창양 장관 주재로 범부처 수출상황점검회의를 열고 수출 감소와 무역적자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부처별 이행 실적을 점검했다.

이 장관은 "지난 1월 대규모 무역적자(-127억 달러)를 기록한 이후 3월(-46억 달러)까지 적자 규모가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다"면서도 "수출 확대와 에너지효율 개선을 통한 무역수지 전환에 더욱 박차를 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글로벌 고금리 기조에서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가 더디게 나타나고 있고, 국제 금융시장의 불확실성도 여전한 만큼 수출 여건은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라며 속도감 있는 예산 집행과 현장 애로 밀착 지원 노력에 더욱 박차를 가해달라고 요청했다.

또 이 장관은 "한일정상회담을 계기로 한일 양국 간 경제협력에 있어 전환점을 맞이하는 만큼 한일관계 개선이 일본 시장 진출 확대로 이어지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해 회의에서는 한일 양국 간 협력 가능성이 높은 첨단산업, 소비재, 디지털·그린 전환 등 3대 분야의 지원 방안이 제시됐다.

우선 첨단산업 분야에서는 반도체, 전기차 등 일본의 첨단산업 공급망에 한국 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마케팅 활동과 함께 양국 기업 간 교류 확대를 지원하기로 했다.

소비재 분야에서는 일본 내 한류의 재확산을 계기로 농수산식품, 패션, 콘텐츠 등이 한국의 대표 소비재가 일본 소비자에게 한층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판로 개척 및 무역금융 지원을 확대할 예정이다. 일본 정부의 디지털·녹색 전환 정책과 연계해서는 현지 수요 기업과 국내 기업의 짝짓기(매칭)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 밖에 각 부처는 이달 중 조선업 금융 지원 확대 방안을 비롯해 디자인·해외인증 취득·디지털 산업·의료기기·녹색산업, 수산 식품 등 분야별로 경쟁력 강화와 수출 확대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산업부가 전했다.

회의에서는 아랍에미리트(UAE) 제1차 셔틀 경제협력단 파견을 통한 20억 달러 이상의 수주 계약 1건과 양해각서(MOU) 5건 체결 등 그간의 수출 지원 성과를 되돌아보는 시간도 마련됐다.

또 정부는 그간 수출현장지원단, 수출현장간담회, 원스톱 수출·수주지원단 등을 통해 지난달까지 389건의 현장 애로를 발굴했으며, 이 가운데 74%(289건)를 즉시 해소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소개했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