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기승전‘문재인’…국민의힘, ‘文’에 갇혔다 [이런정치]
與, 尹 “전 정부 핑계 안 통한다” 지시에도 끊임없이 文 언급
한동훈, ‘정순신 부실 검증’ 비판에 “文정부에서도 확인 못 해”
김기현 국민의힘 당대표가 27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의사당 본청에서 열린 국민의힘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임세준 기자

[헤럴드경제=신현주 기자] “좋지 않은 성적표와 국제 경제위기 상황에서 우리 정권이 출범했지만 국제 상황에 대한 핑계, 전 정권에서 물려받았다는 핑계가 이제 더 이상은 국민에게 통하지 않는다.”

(윤석열 대통령 지난해 8월 국민의힘 연찬회 발언)

윤석열 대통령이 여당의 ‘무한책임’을 강조한 지 7개월이 지난 가운데, 국민의힘에서 또다시 문재인 전 대통령이 소환되고 있다. 당시 지지율 부진을 겪던 윤 대통령은 쇄신을 강조하며 ‘전 정권을 탓하지 말자’고 지시했지만, 여전히 지지율 하락 때마다 전 대통령이 거론되는 모양새다.

野 ‘제주 홀대론’ 주장에 “문재인도 5년 간 3번 참석”
국민의힘 김병민 최고위원이 지난달 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 회의에서 “더불어민주당은 지속가능한 발전, 민생에 대한 고민 없이 오로지 선거를 위해 노란봉투법, 안전운임법, 방송법 등 줄줄이 강행통과하려고 만지작거리고 있다”며 “이에 그치지 않고 대통령의 대법원장 임명권 제한 법안, 사면권 제한 법안, 국가인권위원장 임명권 제한 법안, 외교협상 제한 법안 등도 제출했다”고 비판했다.

김병민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3일 YTN라디오 ‘뉴스킹 박지훈입니다’에서 “현직 대통령이 추념식에 참석한 사례를 보면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은 2006년에 한 번 참석했고, 문재인 전 대통령도 세 번 참석했다”고 밝혔다. 정부여당이 제주 4.3사건의 온전한 해결을 약속했음에도 지도부 일부만 추념식에 참석한다는 더불어민주당의 비판에 대한 반박으로 풀이된다.

국정조사도 文먼저, 근로시간 개편도 文때문이라는 여당

여당 지도부는 최근 민주당이 윤석열 정부의 ‘대일외교 국정조사’를 요구하자 문재인 정부의 ‘대북 원전 지원 국정조사’가 우선이라고 맞서고 있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지난달 30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문재인 정부가 ‘대북 원전’ 문건을 전달했다는 의혹, 월성 원전 경제성이 조작된 경위 등에 대해 우리당이 21건의 국정조사 요구서를 제출했지만 민주당은 우리당의 국정조사 요구를 단 한번도 받아들인 적 없다”고 비판했다. 주 원내대표는 “민주당이 국정조사를 끝내 우긴다면, 문재인 정부가 했던 지금도 베일에 쌓여있는 김정은과의 남북정상회담부터 국정조사해야 하지 않겠냐”고 했다.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21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주69시간제 비판’에 대해 ‘언어도단’이라고 반박했다. 임 의원은 “선택적 근로시간을 3개월 이내로 할 수 있도록 만든 법안은 노사 합의가 아닌 민주당이 독단적으로 한 것”이라며 “문재인 정부가 노동이 존중받는 세상을 만들겠다고 말했지만 사실 선택적 근로시간을 3개월로 만든 것도 민주당”이라고 강조했다.

정순신 자녀 학폭 검증 질책에 “문재인 정부에서도 확인 못했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도 ‘정순신 변호사 부실 인사 검증’ 논란에 문 전 대통령을 언급했다. 한 장관은 지난 27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의겸 민주당 의원이 ‘정 변호사 자녀의 학폭 사실을 알고 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자 “정부가 알고도 인사를 밀어붙인 것이라면 하루도 안돼 철회했을 리가 없다”고 답했다.

한 장관은 “검찰과 경찰이 (학폭 사실을) 걸러냈다면 이런 일로 (피해자가) 아픔을 겪는 일이 없었을텐데 그 점은 대단히 가슴 아프게 생각한다”면서도 “과거 문재인 정부에서도 안경환 법무부 장관 후보자 역시 본인이 이야기하지 않았으니 확인할 수 없던 구조적 문제라는 입장을 여러 번 내지 않았냐”고 반문했다.

한 장관의 반론에도 불구하고, 여권에서도 ‘한동훈 책임론’은 불가피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국민의힘 초선의원은 “본인이 ‘기억나지 않는다’고 말하면 곧이곧대로 믿는 것이 인사검증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냐, 인사정보관리단 출범 때 야당이 비판했던 것이 검찰에 대한 봐주기 인사가 단행될 것이라는 내용이었는데 그 비판을 입증한 것이나 다름없다”고 밝혔다.

“文, 국민의힘에 좋은 카드” vs “이런 식으로 총선 못 이겨”

국민의힘의 ‘문재인 찾기’는 지지율 회복을 위한 일종의 전략으로 풀이된다. 지난 정권에 대한 반감을 돋우고 지지층을 결집시켜 여당의 주도권을 되찾겠다는 것이다.

당내에서는 반응이 엇갈린다. 당 지도부 관계자는 “우리 당이 지난 대선에서 승리할 수 있었던 데에는 외부적 요인이 컸다”며 “우리가 잘한 것보다 상대방이 못한 것이 많았다는 뜻”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선거 결과를 두고 ‘민주당 이탈표가 집결했다’, ‘무당층이 결국 정권교체를 택했다’는 등의 해석이 나왔다”며 “우리 입장에서는 이들의 지지를 얻기 위한 카드가 문 전 대통령인 셈”이라고 말했다.

반면, 비윤계 국민의힘 중진의원은 “취임 첫 해에나 이런 식으로 지지율 올리는 것이 가능했지, 총선이 코앞으로 다가왔을 때 지난 정권을 언급하며 지지율을 올리려고 하면 역부족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이번 총선은 말마따나 윤 대통령의 얼굴을 걸고 하는 총선 아니냐”며 “그러려면 뭔가 성과로 승부를 봐야 하는 것이고 여당이 좀 더 건설적인 태도로 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newk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