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엄 산 개관 10주년 기념 건축전
자신이 지은 건물서 대규모 개인전
[헤럴드경제=이한빛 기자] 팔순을 넘긴 거장은 청춘을 노래한다. 2014년 재발한 암 때문에 5개 장기를 떼어 내고도 삶의 의지를 불태우고 있다. “나이가 어려야만 청춘이 아니다. 살아있는 동안이 청춘이다”
팔순 건축 거장의 청춘가
안도 타다오는 청년시절 프로 복싱선수였다. 우연히 헌책방에서 프랑스 건축가인 르코르뷔지에의 책을 본 뒤 건축으로 전향했다. 독학으로 공부해 1969년 건축사무소를 시작했다. 시작부터 철저하게 아웃사이더 였던 그는 빛과 그림자, 물과 돌, 나무, 노출 콘크리트를 자신의 건축언어로 사용하며 독특한 안도 타다오 스타일을 구축했다. 1995년 건축계 노벨상인 프리츠커 상을 수상하면서 글로벌 건축 거장으로 도약했다. 이제는 그 누구도 그를 ‘비전공자’라고 꼬리표 달지 못한다.
안도 타다오의 건축세계를 돌아보는 전시가 자신이 직접 건축한 미술관에서 열린다. 강원도 원주 뮤지엄 산은 개관 10주년을 기념해 안도 타다오의 건축전을 개최한다. 전시 주제는 '청춘'이다.
건축 당시 “살아갈 힘을 되찾는 장소로 보여주고 싶었다”고 했던 뮤지엄 산에서 그는 이번엔 청사과를 제시했다. 익어가며 붉어지는 일반적인 사과와 달리 청사과는 완숙해도 여전히 푸르다. 사무엘 울만은 자신의 시 ‘청춘’에서 ‘강인한 의지, 풍부한 상상력, 불타오르는 열정을 말한다. 청춘이란, 인생의 깊은 샘에서 솟아나는 신선한 정신이다’고 했다. 나이가 들어도 스러지지 않는 청춘이다. 실제로 워터 가든(Water Garden)을 지나 미술관으로 들어서는 정문에 높이 3미터의 청사과가 설치됐다. “청사과를 한 번 만지면 1년 더 오래산다. 내가 이런 말을 하면 나이드신 분들만 오신다”(하하)
올해로 81세, 암 때문에 주요 내장 5개를 적출했지만 그는 여전히 현역이다. 하루 만 보를 걷고, 한 끼를 30분에 걸쳐서 천천히 먹고, 한 두 시간은 공부에 몰두한다. “절망에 머무르지 않고, 절망하지 않고, 계속 희망을 찾아가기 위해” 그가 하는 노력이다. 젊은이들과 교감도 그에겐 즐거움이다. 전날인 30일 서울대에서 열린 강연엔 1300여명의 학생들이 참여했다. “학생들이 상당히 수준이 높았다”는 그는 예정시간인 1시간을 넘겨 1시간 15분가량 학생들과 소통했다.
‘뮤지엄 산=이인희 고문’…정말 용감했던 사람
뮤지엄 산은 그에게 고(故) 이인희 한솔그룹 고문으로 기억된다. ‘전 세계에 없는 것을 만들어 달라’는 이 고문의 요청에 그는 미술관으로 들어오는 길에 조각을 관문처럼 세우고, 그 아래를 통과해 들어오는 안을 제시했다. 이 고문은 매우 흡족해 했다고 한다. “서울에서 2시간이나 떨어진 곳에 미술관을 짓겠다고 해서 이게 과연 가능한 일인가, 사람들이 올까 싶었다. 이 고문이 정말 용감하다고 생각했다” 그의 예상과 달리 뮤지엄 산은 요즘 연간 20만명이 찾는 명소다. 자연속에 안착한 안도 타다오의 건축과 미술품의 콜라보가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인 것이다. “이 고문이 ‘사람들이 오게 하는 건 우리 역할’이라고 했다. 미술관이 이만큼 성장한데에는 그의 의욕과 파워에 힘입은 것이라고 본다”
뮤지엄 산은 크게 4개의 건물이 사각, 삼각, 원형의 공간들로 연결된 구조다. 대지와 하늘을 사람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안도의 철학을 담았다. 안도 건축언어의 핵심으로 꼽히는 노출 콘크리트와 물, 빛, 바람, 돌이 어우러진다. 돌은 이 지역에서 나온 돌을 사용했다. 미술관은 ‘소통을 위한 단절’(Disconnect to connect)를 슬로건으로 종이와 아날로그를 통한 삶 속의 여유를 체감하고 자연과 예술 속에서 휴식을 선물하고자 하는 컨셉을 담고 있다. “청춘을 느끼는 방법은 자연속에 있는 것이다. 물이 있고 푸르게 나무로 둘러쌓여있다. 돌벽담을 넘어가면 미술품이 있다. 그곳엔 우리가 기존에 모르던 세계가 펼쳐진다”
건축전, 안도 건축의 핵심을 압축하다
건축전은 안도의 50년 건축사를 총망라한다. 1969년 사무소를 처음 시작했을때부터 최근까지 작업이 대상이다. 초기작업인 ‘도시게릴라 주택 프로젝트’는 빛과 기하학이라는 안도의 근원적 주제의 시작을 보여준다. 일본 전통가옥의 사이(間)를 현대화하는 도시건축 작법이나 장소성에 대한 새로운 해석, 독창적 건축은 안도 건축의 대표적 특징이다.
또한 공공건축에서는 지역의 공동체와 공유하는 풍경을 새롭게 만들어낸다. 어린이들의 보행 안전을 담보하기 위해 차로를 모두 인도로 바꾸어버린 ‘나카노시마 어린이 책 숲 도서관’이 그 대표적인 예다.
안도 타다오의 최장 프로젝트인 나오시마 프로젝트도 선보인다. 1980년대 말 안도는 세토 내해의 작은 섬 나오시마를 예술 허브로 만들기에 착수했다. 지금은 매년 40만명 넘는 인원이 나오시마를 찾는다. 바다를 바라보는 방파제의 끝에 설치된 쿠사마 야요이의 노란 호박, 이우환 미술관, 베세네 하우스 뮤지엄, 지중미술관, 밸리 갤러리 등 섬 자체가 미술관으로 변했다.
하이라이트는 피노 케링그룹 회장의 커미션 건축물이다. 이탈리아 베니스의 팔라초 그라씨(2013), 푼타 델라 도가나(2009)를 비롯 프랑스 파리의 브르스 드 코메르스(2021) 등 모두 수백년 된 건축물을 리모델링한 작업들이다. 건축을 개별이 아닌 다양한 상황이 입체적으로 개입된 문맥으로 접근하는 안도의 스타일은 본래의 모습을 최대한 살리면서도 파격적인 공간개입을 선보인다. 자신 스스로를 건축 역사를 이어가는 일부분으로 생각하기에 가능한 결과물이다.
정말 좋은 건축물의 필수요소는 클라이언트
안도는 좋은 건축물이 나오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는 클라이언트를 꼽았다. 피노의 커미션 건축을 할때 그는 이전에 적용하지 못했던 실린더 형태의 원형이라던가 정육면체 모양의 전시공간을 현실화했다. 그에게는 피노가 좋은 클라이언트였으리라. “재미있는 것일 수록 사람들이 초반엔 거절한다”고 뼈있는 농담을 한 안도는 “계속 마음에 간직하고 있으면 결국 실현된다. 그러려면 오래 살아야 할 것”이라며 웃었다.
100세 시대, 안도는 지적·신체적 체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항상 새로운 걸 찾아야하고 그를 통해 희망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희망이 있는 건축을 만들고 싶었다. 절망하지 않고 희망을 찾아 나가고자 한다. 희망을 유지해 나가는 본보기가 됐으면 한다” 스스로를 ‘몸이 아픈데다 학력도 없는 이’ 라고 낮추는 안도 타타오의 당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