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물가와 금융안정 사이 절충점 찾은 美연준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2일(현지시간) 베이비스텝(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을 단행했다. 이에 따라 미국 기준금리는 기존 4.50~4.75%에서 4.75~5.0%로 뛰어 상단 기준금리 5%대 시대를 열었다. 2007년 이후 최고 수준이다. 한국과의 금리 격차는 최대 1.5%포인트로, 22년여 만에 가장 크게 벌어졌다.

연준은 40년래 최악의 인플레이션을 잡겠다며 물가목표치인 2%에 도달할 때까지 금리인상을 멈추지 않겠다는 입장이었다. 고금리에 따른 다소의 경기침체는 감수하겠다는 강경 모드였다. 지난해 3월 0.25% 수준이었던 기준금리를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 인상)을 거듭한 끝에 단 1년 만에 5.00%로, 4.75%포인트나 수직상승시킨 배경이다. 지난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보다 6.0% 오르는 등 둔화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목표치보다 격차가 크고 고용률 등 경제지표가 호조를 보이면서 3월에도 빅스텝(0.5%포인트 인상)이 예상됐었다. 그랬던 연준이 이번에 베이비스텝을 밟으며 몸을 사렸다. 글로벌 금융위기설을 몰고온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이 미 연준의 급격한 고금리정책에 기인했다는 책임론이 일면서다. 가뜩이나 미 연준발 긴축으로 전 세계가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3고(高)’에 허덕인다는 비판이 이는 마당이다. 여기에 더해 금융 시스템 불안을 촉발한 장본인으로 지목받는 것을 감당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SVB 파산이라는 돌발 변수로 연준의 금리인상 행보는 이제 막바지에 접어들었다. 이날 연준은 성명서에서 단골 문구인 물가 억제를 위한 ‘지속적인 금리인상’을 빼고 ‘추가적인 정책 강화’를 넣었는데 경제·금융 상황을 보면서 추가 인상 필요성을 평가해나갈 것이라는 의미로 해석됐다. 실제로 FOMC(연방공개시징위원회) 위원들이 향후 금리인상 경로를 각자 ‘점’을 찍어 보여주는 점도표에 따르면 중간값은 5.1%(5.0~5.25%)였다. 사실상 5월 예정된 다음 회의에서 베이비스텝을 단행한 후 금리인상이 종결될 수도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미 연준의 금리인상이 5.25%에서 종결된다고 해도 우리와는 1.75%포인트의 격차가 난다. 내외 금리 차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썰물처럼 빠져나갈 수 있다. 한국은행은 외환보유액 등 위기방어막을 점검하고 감독당국은 투기적 이익을 좇는 핫머니들의 시장 교란을 예의주시해야 한다. 작년 하반기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 자금경색 때처럼 시장불안감이 커질 땐 단기에 유동성을 지원할 준비도 해야 한다. 제2금융권 가운데 SVB처럼 금리 급등위험에 노출된 곳은 없는지도 점검해야 한다. 만사 불여튼튼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