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신뢰' 강조한 파월의 입에 한숨 던 한은…불확실성 걷혔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헤럴드경제=김현경 기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다음달 열릴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로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국과 미국의 금리차가 역대 최대 수준으로 벌어진 점은 기준금리 결정에 부담이지만 향후 연준이 긴축의 고삐를 늦출 가능성과 안정적인 외화유동성을 감안하면 한은도 운신의 여유가 있다는 평가다.

연준은 22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현재보다 0.25%포인트 높은 4.75~5.00%로 올렸다. 이에 따라 한미 기준금리 격차는 최대 1.50%포인트로 확대됐다. 이는 지난 2000년 5~10월(1.50%포인트) 이후 22년여 만의 최대 역전 폭이다.

이는 지난달 기준금리를 3.50%로 동결한 한은에 압박 요인이다. 한미 금리차가 최대 수준을 유지할 경우 외국인 자본 유출 가능성이 높아지고, 원/달러 환율이 다시 요동칠 수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위원들의 금리 인상 전망을 보여주는 점도표(dot plot)에 따르면 올해 말 금리 예상치는 5.00~5.25%, 중간값은 5.1%로 연준이 금리를 한 번 더 올릴 공산이 크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5월 ‘베이비 스텝(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을 밟을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는데, 한은이 4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하면 한미 금리차가 1.75%포인트까지 확대돼 사상 최대치를 경신하게 된다.

하지만 연준이 올해 안에 금리 인하로 선회하진 않더라도 향후 긴축의 강도는 완화하며 금리 인상 마무리 단계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되면서 한은도 한 차례 더 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한 뒤 종료 수순을 밟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연준은 통화정책 기조에 대해 지난 회의 성명에서는 "지속적인 금리 인상'이라고 표현했으나 이번 성명에서는 "약간의 추가적인 정책 강화(policy firming)가 적절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바꿨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에 선을 그으면서도 이날 금리 인상을 최종 결정하기 전까지 "금리 동결도 검토했었다"고 언급해 시장의 긴축 종료 기대를 높였다.

이에 금융투자업계에선 한은이 기준금리를 더 올리지 않고 3.50%에 머물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한은은 그동안 물가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두고 가파른 금리 인상을 단행해 왔지만 이제는 금융 불안과 경기 침체도 중요한 고민거리가 됐다.

이승헌 한은 부총재는 23일 '시장상황 점검회의'에서 "실리콘밸리은행(SVB), 크레디트스위스(CS) 사태 이후 금융 불안에 대한 시장의 경계감이 여전히 큰 상황에서 금융안정 상황 전개와 그에 따른 미국 통화정책에 대한 기대 변화 등에 따라 국내외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수시로 확대될 수 있는 만큼

대외 여건의 변화와 국내 가격변수 및 자본유출입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필요시 적극적인 시장안정화 조치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외화유동성이 안정적이고 환율도 1300원 수준에서 등락하고 있어 한미 금리차에 대응 여력이 있다는 점도 한은의 금리 동결에 무게를 싣는다.

한은이 이날 발간한 ‘금융안정 상황(2023년 3월)’에 따르면 1월 기준 국내은행의 외화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은 132.5%로 규제비율(80%)을 크게 상회하고 있다.

한은은 "외화유동성의 경우 심각한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유동성 사정이 양호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p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