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세상속으로] 지속가능 축산의 해답, 유통에서 찾는다

축산업을 둘러싼 환경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는 메가트렌드(2020)로 인구고령화, 기후변화, 사회가치변화, 기술변화 등을 꼽았다. 농가인구 고령화율은 2021년 46.8%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며, 제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정밀농업이 발전하고 있다. 정부에서 2050 탄소중립을 발표하면서 저탄소·친환경정책이 강조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후·환경 문제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도 커졌다. 또한 건강과 삶의 질을 중시하는 경향으로 소비 패턴이 바뀌고 있는데 이러한 변화는 축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속 가능한 축산을 위해서는 미래 여건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비자들이 우리 축산물을 찾고 소비할 수 있도록 경쟁력을 높이고, 환경친화적 축산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이제 축산업은 생산만으로는 눈앞에 놓인 과제를 풀어내기 어렵다. 소비부터 역으로 소매·도매·가공·생산까지의 과정을 살펴보면 ‘축산유통’에서 답을 찾을 수 있다.

먼저, 소비자 수요 변화에 맞춰 축산물 등급·이력, 유기·저탄소 인증, 사육환경 표시 등 다양한 축산물 특성정보를 제공해 맞춤형 소비를 지원하고 축산업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환경과 건강, 맛과 영양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구매 시 관련정보를 따지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소비자 요구에 따라 제도가 바뀌거나 새 제도가 생겨나기도 하는데 최근 저탄소 축산물 인증제 시범사업을 도입한 것도 그 일환이다.

둘째, 생산·유통·소비 등 전 과정에서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과 ICT기술 접목을 통한 효율화가 필요하다. 농촌인구 고령화와 노동력 부족이 심화되면서 빅데이터, 기계화, ICT 융복합 등의 스마트 축산이 대안으로 떠올랐다. 자동으로 생산환경을 제어하고, 유통·소비 이후 단계까지 데이터를 분석해 사양관리에 반영하는 등 데이터와 기술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셋째, ICT기술이 발달하고 유통 채널이 다변화되고 있는 만큼 축산물 유통시장도 이에 맞게 변화해야 한다. 축산물은 농산물과 달리 도축 등의 유통 과정이 필수적이고, 직접 거래가 어렵다 보니 오랜 기간 실물·대면 중심의 도매시장이 발달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코로나19, ASF 등 대면환경이 제한되는 상황에서는 운영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 시장대응력 향상과 유통구조 효율화를 위해 온라인 경매를 활성화하고 도축·가공 등 유통 과정에 ICT기술을 접목하는 등 선진화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정확한 데이터와 예측모델을 기반으로 정부의 수급관리정책을 지원하고, 농가가 자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 가축과 축산물은 가축질병 등 특수 상황을 제외하고는 수급 예측이 용이한 편이다. 따라서 사육 동향 등을 토대로 공급 예측력을 높이고 소비트렌드 변화 등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요인을 분석하여 수급관리에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12월 조직 개편을 통해 축산유통팀을 신설했다. 앞서 언급한 대내외 여건과 과제를 반영해 축산유통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축산물품질평가원 역시 축산유통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정부 정책을 지원하고자 데이터 분석·활용 전담부서를 만드는 등 올해 1월 조직을 개편했다.

앞으로 우리 축산업 경쟁력의 핵심은 축산유통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생산·유통·소비 각 부문에서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고민하며 협력해 나가야 할 것이다.

박병홍 축산물품질평가원장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