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신차려보니 중국인 투성이”…홍콩 공립대 본토 교수 35% 늘어
홍콩 출신은 14%↓…반정부 시위 이후 빠르게 감소
학계 중국 종속 심화 우려…“민감 이슈 연구 어려울 것”
홍콩대학교 캠퍼스 전경 [게티이미지]

[헤럴드경제=원호연 기자]홍콩 내 8개 공립대 교수 중 중국 본토 출신 교수가 빠르게 늘면서 학문의 중국 종속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 명보는 13일 지난 4년간 중국 본토 출신 교수가 35% 증가한 반면 홍콩 현지 출신 교수는 14% 줄어들었다고 보도했다. 교육계 인적 구성에서 중국의 비중이 커지면서 학문 성향도 중국화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명보는 대학 당국의 교원 국적 자료를 분석한 결과 8개 공립대에서 중국 본토 출신 교수가 2017-2018학년도 1175명에서 2021-2022학년도 1592명으로 4년 간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반면 같은 기간 홍콩 출신 교수는 2003명에서 1722명으로 감소했다. 다른 국적의 교수 수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

그 결과 중국 본토 출신 교수가 전체 교수진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24.4%에서 32%로 증가한 반면, 홍콩 출신 교수는 41.5%에서 34.6%로 곤두박질 쳤다.

특히 8개 공립대 중 2019년 반정부 시위가 가장 격렬하게 일어났던 홍콩이공대에서는 홍콩 출신 교수가 506명에서 380명으로 빠르게 감소했다. 이 기간 중국 본토 출신 교수는 154명에서 297명으로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홍콩중문대 프란시스 리 교수는 명보에 “최근 몇 년간 사회환경 변화로 많은 해외 및 홍콩 학자들이 홍콩을 떠났다”ㅕ “앞으로 '홍콩 독립'과 같은 일부 민감한 문제는 홍콩에서 연구하기 어려울 것이며 향후 연구 분야에서 사라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홍콩중문대 이반 초이 정치행정학 선임 강사는 “홍콩인 교수의 수와 비율이 감소한 것은 최근 많은 학자가 홍콩을 떠났음을 반영한다”며 “그들은 대체로 사회적 분위기에 실망하고 현재의 정치 환경에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실수로 ‘레드 라인’을 넘어설까 걱정한다”며 학계 분위기를 전했다. 외국 학자들 역시 홍콩에 오는 것을 우려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서는 많은 본토 학자가 홍콩을 일할 곳으로만 여기고 현지 사회에 대해 거의 연구하지 않는 만큼 홍콩 연구가 지지부진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2020년 6월 홍콩국가보안법 제정 후 홍콩 사회에 대해 목소리를 내온 교수들이 잇따라 교단을 떠나거나 체포·기소됐다.

대표적으로 2014년 장기 도심 점거 민주화시위인 우산혁명을 주도했던 시민단체 ‘센트럴을 점령하라’ 공동 대표이자, 2020년 7월 열린 야권의 입법회(의회) 의원 예비선거를 주도한 혐의로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를 받은 베니 타이 전 홍콩대 법대 교수가 대표적이다.

지난해 정치학자 브라이언 퐁 홍콩교육대 부교수는 친중 매체가 그를 ‘친독립 세력’이라 공격한 후 학교를 떠났고 2021년에는 홍콩대 정치학자 조셉 찬 교수가 현재의 정치적 분위기 속에서 더는 예전처럼 자유롭게 발언할 수 없음을 느낀다며 사직을 발표했다.

홍콩의 11개 모든 대학은 졸업하기 위해서는 국가안보 교육을 이수하고 시험을 통과해야 한다는 규정을 만드는 등 경직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홍콩 정부가 지난해 12월 말 개시한 고급 인재 유치 프로그램의 지원자 3분의 2는 중국 본토인으로 집계됐다.

why3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