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농식품부, ‘국산밀 全생산단체 참여’ 자조금 조성 추진
국산밀 산업 육성 시행계획 발표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정부가 국산밀 수급 안정을 위해 민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전체 생산단지가 참여하는 의무자조금 조성을 추진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국산밀 자급률 제고를 위해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23년 국산밀 산업 육성 시행계획'을 발표했다.

농식품부는 의무자조금 조성을 위해 이달까지 전체 생산단지가 참여하는 임의자조금 단체를 조성하고, 연말까지 의무자조금단체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또 '밀주산지협의체'를 구성·운영하는 지자체에 밀 수급조절과 소비촉진 활동을 지원한다. 현재 전북과 전남에서 이 협의체를 구성해 운영 중이다.

농식품부는 올해부터 '공공비축 사전약정제'도 도입한다. 파종 전 다음해 정부비축 물량에 대해 농가단위로 약정을 체결해 농가에서 생산한 밀 판로를 확보한다. 내년도 정부비축 예정물량은 2만5000t(톤)이고 2027년 5만t까지 늘려간다.

농식품부는 또 밀 전용 건조·저장시설 지원 대상을 지난해 4곳에서 올해 5곳으로 확대하고 국산밀 생산 증가 추이를 고려해 정부비축물량을 순차적으로 확대한다.

농식품부는 정부 비축밀 공급도 늘린다. 국산밀 사용량이 증가했거나 수입밀을 국산밀로 전환하는 업체 등에 대해 테스트용으로 업체당 100t을 공급한다. 가공업체의 안정적인 원료 공급을 위해 계약재배물량도 지난해 6000t에서 올해 8000t으로 확대한다.

국산밀 제품을 활용한 식단을 제공하는 학교나 단체에는 제품 구매비용 일부를 지원하는 '국산밀데이(Day)'를 운영한다. 이 밖에 농식품부는 국산 밀가루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용도별 블렌딩(혼합·균일화) 조건 설정 연구도 추진한다.

올해 밀산업 육성 예산은 403억원으로 지난해보다 67% 증가했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