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고용둔화 인정한 정부…“일자리 예산 70% 상반기 집행”
추경호 부총리, 8일 비상경제장관회의 주재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정부가 고용둔화가 시작됐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연간 일자리 예산의 70% 이상을 상반기에 집행해 직접일자리 92만4000명을 1분기에 채용하기로 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8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추 부총리는 올해 고용 상황에 대해 “올해 고용률과 실업률은 비교적 양호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나 취업자 증가가 작년에 예년에 비해 2배 이상 큰 폭으로 확대된 82만명에서 올해 10만명으로 상당폭 둔화돼 취업자 수는 장기 추세 수준으로 복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취업자 증가 폭 축소는) 작년 고용호조에 따른 통계적 기저효과, 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와 함께 경기 둔화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데 기인한다”고 덧붙였다.

추 부총리는 “최근 고용둔화 우려에도 산업 현장에는 빈 일자리가 증가하는 노동시장 불균형이 지속되고 있다”며 “이미 편성된 일자리 사업을 신속하게 집행해 고용여건 개선을 뒷받침하고 당장 시급한 산업현장의 빈 일자리 해소를 최우선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올해 고용 둔화에 대응해 직접일자리 사업 규모를 늘리기로 했다. 올해 직접일자리 채용 인원은 전년보다 1만4000명 늘어난 104만4000명으로, 이 가운데 92만4000명 이상을 1분기에 채용한다. 지난달 말까지 채용 인원은 82만8000명으로 전년 대비 16만4000명 증가했다. 연간 일자리 예산 14조9000억원 가운데 70% 이상은 상반기에 집행하기로 했다.

지난달 조선업 원·하청 기업과 정부·지방자치단체가 맺은 조선업 상생 협약의 후속 조치로 상생 패키지 지원사업도 추진한다.

추 부총리는 “최근 조선업은 선박 수주가 크게 증가됐으나 하청근로자의 열악한 처우 등으로 올해 말 기준으로 1만4천명의 생산인력 부족이 전망된다”며 “조선업 원·하청의 성실한 협약 이행을 전제로 인력 부족과 경영난 해소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조선업 근로자 처우 개선을 위해 신규 입직자 희망공제 사업을 대폭 확대하고 하청업체 재직 근로자 대상의 자산형성 지원사업을 신설해 2년간 한시적으로 운영하겠다”며 “공동근로복지기금은 3년간 2배 수준으로 확대되도록 재정지원을 강화하는 등 원·하청 근로조건 격차 해소 노력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th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