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그저 빚… 빚내서 빚 갚아요" 청년 139만명이 위험하다… 어떻길래
[연합]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30대 이하 청년층 다중채무자가 139만명이고, 이들의 1인당 대출잔액이 1억1158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채무자 10명 중 1명이 30대 이하 청년이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다중채무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3곳 이상의 금융회사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 중 30대 이하 청년층은 139만 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다중채무자(447만3000명)의 31%가 청년층인 것이다.

청년층 다중채무자의 대출잔액은 155조1000억원으로, 4년 전인 2018년 3분기(120조7000억원)와 비교하면 28.5%(34조4000억원) 급증했다. 같은 기간 1인당 평균 대출잔액도 9096만원에서 1억1158억원으로 2000만원 넘게 증가했다.

다중채무자는 빚을 빚으로 막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금리 인상기 부실 가능성이 큰 취약 채무자로 분류된다.

전체 다중채무자 대출잔액은 589조7000억원이다. 다중채무자 대출잔액은 2018년부터 계속 증가하다 지난해 감소세로 돌아섰다. 2018년 3분기(497조6000억원)보다는 18.5% 늘었지만, 2021년 4분기 600조2000억원보다는 줄었다.

60대 이상 고령층 다중채무자 수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60세 이상 다중채무자는 57만 명, 대출잔액은 73조4000억원을 기록했다. 2018년 3분기(39만7000명·57조4000억원)와 비교하면 차주 수와 대출잔액이 각각 43.6%, 27.9% 늘었다.

연령대별 1인당 평균 대출잔액은 40대가 1억450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50대 1억4219만원, 60대 이상 1억2889만원 순이었다.

진선미 의원은 "다중채무자가 급격히 증가한 상태로 기준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해 자산건전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며 "취약차주 지원을 위한 금융지원 프로그램, 정책금융 확대 등을 통해 선제적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paq@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