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금융사 내부통제 평가, 금융사기 예방·구제노력 반영한다
금감원, 금융사기 대응 TF 구성
금융사기 신속 대응체계 구축

[헤럴드경제=서정은 기자] 앞으로 금융사의 내부통제 평가에 금융사기 예방 및 구제노력이 반영된다. 최근 핀테크 산업 발달로 보이스피싱 위험이 커지면서 금융당국은 금융사의 자발적 노력을 유도하고, 신종 사기수법에 대응하기 위한 신속 대응체계를 구축키로 했다.

금융감독원은 27일 '보이스피싱 대응 범정부 태스크포스(TF)' 일원으로 금융부문 제도개선을 위해 19개 은행 및 13개 협회 및 중앙회와 ‘금융사기 대응 TF’를 구성한다고 밝혔다. 이날 첫번째 회의에서는 향후 추진할 과제를 논의하고 업계의 금융사기 대응 사례를 공유했다.

금융감독원은 우선 금융회사의 사전 피해예방 노력과 사후 피해구제 결과를 측정할 수 있는 계량・비계량 지표를 개발해 내부통제를 평가하기로 했다. 내부통제 평가 결과가 우수한 회사는 소비자보호총괄(CCO) 간담회 등을 통해 모범사례로 공유하고, 미흡한 회사에 대해서는 자율개선 유도하기로 했다.

진화하는 신종 수법을 적시에 공유하기 위한 신속 대응체계도 구축한다. 금융감독원은 금융 현장에서 인지하는 금융사기 수법을 적시에 파악, 대응하기 위해 업권별(협회・중앙회), 금융회사별 전담창구를 지정키로 했다. 또 신속대응 전담 직원들이 업무를 균질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세스별로 구체적인 업무 절차를 정립할 방침이다. 아울러 금융소비자 니즈에 맞춘 홍보전략을 수립해 온・오프라인을 아우르는 생활밀착형 홍보를 유관기관 등과 공동으로 실시하기로 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TF에서 추진할 세 가지 과제를 속도감 있게 이행하고, 논의과제 진행상황을 점검하기 위한 전체 회의를 6월 개최할 것"이라며 "신종 사기수법 등 금융권 공동 대응이 필요한 현안 발생시 TF에서 신속하게 논의하는 등 TF를 상시 협의체로 운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luck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