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연 2000만명 은퇴 中 베이비붐 세대…“재취업 어쩌나”
향후 10년간 ‘퇴직 러시’
정년 65세로 연장 추진

[AFP]

[헤럴드경제=원호연 기자]중국에서 베이비 붐 세대가 매년 2000만 명이 퇴직하게 됨에 따라 실버 세대의 구직난이 중국의 새로운 사회문제로 떠올랐다

극목신문 등 중국 현지 매체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2000여만 명이 정년(남성 60세, 여성 50세, 여성 간부 55세)을 맞아 퇴직한 것을 시작으로 중국의 2차 베이비붐 세대가 본격적인 은퇴기에 접어들었다.

올해는 한 해 기준 출생인구가 가장 많았던 1963년생이 퇴직하는 만큼 지난해보다 은퇴자가 더 많을 전망이다.

중국은 1950∼1958년, 1962∼1975년, 1981∼1997년 3차례 베이비붐이 발생했다. 특히 2차 베이비붐 때는 한 해 평균 2583만명이 태어나 출생 인구가 가장 많았다.

국가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1960년대는 2억3900만 명, 1970년대는 2억1700만 명이 태어났다.

2차 베이비붐 세대가 매년 2000만 명 이상 근로 현장을 떠나면서 중국 사상 최대 규모의 ‘퇴직 러시’가 10년간 이어질 전망이다.

실버 세대들은 은퇴 이후에도 계속 일하기를 원하고 있다. 현재 노인들은 과거와 달리 여전히 신체적으로 건강하지만 자녀들이 부모를 부양하는 것은 고사하고 집 장만 등 완전히 자립할 수 있는 경제적 능력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이다.

반면 재취업은 녹록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지난해 중국의 구인·구직자 알선 사이트인 보스(BOSS)의 55세 이상 구직자는 전년보다 27% 증가했다.

국영기업에서 구매 업무를 담당했던 항저우의 장모씨는 2년 전 퇴직한 뒤 재취업을 위해 백방으로 수소문했으나 일자리를 찾을 수 없었다. 그는 “여전히 일할 수 있는 나 자신의 가치를 증명할 기회를 얻고 싶지만, 마땅한 일자리를 찾지 못했다”며 “사회에서 쓸모없는 처지가 됐다는 자괴감이 든다”고 말했다.

재취업의 벽을 실감한 그는 도우미나 경비원, 요금 수납원 등의 일자리를 찾고 있다.

북경상보는 “최고 명문인 칭화대를 졸업한 58세 은퇴자가 월급 5000 위안(94만 원)을 받는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고 있다”며 “60세 미만의 대학 졸업 이상 고학력자들은 물론 해외 유학을 했거나 외국 기업에서 일한 경험이 있는 노인들도 사정은 마찬가지”라고 전했다.

이어 “대부분 인력 채용 플랫폼들은 노인 구인 관련 채널은 아예 운영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재취업이 성공하더라도 대부분은 임시직인 경우가 많다.

중국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년을 65세로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작년 10월 열린 중국 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당 대회)와 작년 12월 개최된 중앙경제공작회의는 정년퇴직 연령을 점진적으로 늦춰 2025년께 남녀 모두 65세로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중신증권은 지난 2일 “인구 고령화와 노동력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매년 수개월씩 늘리는 점진적 정년 연장이 추진될 것"이라며 "이르면 올해부터 시행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why3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