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마라도 뿔쇠오리 떼죽음에…‘섬 밖’ 반출된 길고양이, 어디로 가나
27일부터 포획 후 반출, 세계유산본부 인근 시설에서 보호

제주대학교 수의과대학 동물병원에서 보호되고 있는 마라도 고양이. [문화재청]

[헤럴드경제=김유진 기자] 천연기념물 뿔쇠오리를 위협한다는 지적을 받는 제주 마라도 길고양이의 섬 밖 반출 작업이 다음 주 진행된다.

제주도 세계유산본부는 27일부터 마라도에서 야간 예찰과 감시를 벌이며 뿔쇠오리를 보호하고 동시에 길고양이 포획 작업을 벌인다고 24일 밝혔다. 마라도 내 길고양이 개체 수는 60∼70마리 사이로 추정된다.

본부는 다음 달 2일 또는 3일께 길고양이를 포획작업이 완료되면, 포획된 개체들을 바지선이나 어선을 통해 섬 밖으로 방출한다. 중성화되지 않은 고양이를 우선적으로 포획해 반출 기간 동안 추가로 개체 수가 늘어나지 않도록 할 방침이다. 또 반출한 고양이는 야생동물구조센터에서 검진해 건강에 이상이 있는 경우 계속 치료하기로 했다.

건강 상태가 양호한 길고양이는 제주시 조천읍 세계유산본부 인근에 별도 마련한 시설에서 보호할 예정이다. 이와 별도로 세계유산본부가 최근 구조해 야생동물구조센터에서 치료를 마친 고양이 4마리에 대해서는 마라도 주민의 입양 여부를 확인한 뒤 조치할 방침이다.

24일 오전 제주 서귀포시 마라도 동쪽 절벽 주변 잔디밭에서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된 뿔쇠오리 4마리 사체가 제주야생동물연구센터에 의해 발견됐다. 최근 뿔쇠오리들이 번식을 위해 마라도로 날아들고 있다. [연합]

세계유산본부는 지난 17일 문화재청과 동물보호단체, 수의사, 교수 등 전문가와 함께 마라도를 방문해 길고양이 반출을 위한 주민 의견을 수렴했다. 이후 뿔쇠오리 보호를 위해 길고양이를 반출하자는 의견에 따라 반출작업을 결정했다.

천연보호구역 마라도는 천연기념물 뿔쇠오리와 더불어 슴새 등 주요 철새들의 중간 기착지이자 번식지다.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된 뿔쇠오리는 한국, 일본, 태평양 동북부에 분포하며 전 세계적으로 5천∼6천 마리밖에 없을 정도로 멸종위기에 처한 희귀 철새다. 도서 해안이나 섬 주변 암벽 또는 암초에서 집단으로 번식하며 번식기간은 2월 하순부터 5월 상순까지다.

하지만 마라도에서는 매년 뿔쇠오리 사체가 발견된다. 고양이의 공격을 받은 것으로 추정되는 사체 4구(상단 사진)가 이날 오전에도 발견됐다.

고영만 세계유산본부장은 "이번 마라도 길고양이 반출 작업은 멸종위기 종인 뿔쇠오리 보호를 위한 불가피한 조치로, 앞으로도 문화재청과 함께 멸종위기 동·식물 보호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kace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