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젠 ‘해고’할 때도 인공지능(AI) 활용하나?
WP, 美 기업들 AI 의존 가능성 높아
美 인사관리자 98% "해고 대상 정할 때 알고리즘 활용"
이미 채용·승진 등에 활용…"무작정 따르면 위험" 우려도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장연주 기자] 미국에서 기업들이 해고 대상을 정할 때 인공지능(AI)의 판단에 의존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미 인터뷰나 채용, 승진 대상 등을 결정할 때 AI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어 해고에도 사용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란 전망이다. 다만, 잘못된 데이터를 사용하거나 AI의 판단을 무작적 따라하면 위험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WP에 따르면, 지난 달 구글의 대규모 감원으로 해고된 직원 수백명이 몰린 온라인 대화방에서는 "어떤 법도 위반하지 않도록 개발된 영혼 없는 알고리즘"이 해고 대상을 결정한 게 아니냐는 이야기가 오갔다.

구글은 해고에 어떤 알고리즘도 관여하지 않았다고 해명했지만, 기업의 인사 관리자들이 갈수록 인터뷰, 채용, 승진 대상 등을 결정할 때 AI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어 이런 우려가 전혀 근거 없지는 않다고 WP는 보도했다.

실제로 지난 1월 소프트웨어 평가 사이트 캡테라가 미국 기업의 인사 관리자 3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98%가 "올해 정리해고 대상을 결정하는 데 소프트웨어와 알고리즘을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미 여러 대기업은 직원 채용과 업무 평가 등에 알고리즘을 광범위하게 활용하고 있다. 이런 프로그램은 직원들의 경력과 자격, 기술 등에 대한 방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특정 직무에 최적화된 직원을 찾는 과정을 원활하게 한다.

기업들은 직원의 업무 성과를 평가할 때도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데 이런 프로그램을 역으로 이용하면 저성과자를 골라내 해고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이직을 쉽게 하는 직원의 특성을 분석하는 알고리즘도 있다.

다만 이직의 원인이 직원 개인이 아니라 직장 내 인종차별 등 환경의 문제일 경우, 흑인 등 특정 집단의 이직률이 높은 것으로 판단해 해고 대상으로 우선 고려하는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일부 전문가들은 인사담당자가 알고리즘의 성격을 명확히 이해하고 알고리즘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기업 구성원에게 투명하게 설명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yeonjoo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