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급락한 부동산 시장의 최우선 과제는? ..유주택자, 무주택자 답변 달랐다
직방 모바일앱 이용자 615명 설문
10명 중 4명이 가격 안정 꼽아
최근 부동산 거래 심리가 얼어 붙으며 거래량이 역대 최저치로 급감하고 있다. 지난 18일 서울 송파구 잠실동의 한 아파트상가 공인중개소 앞에 급매물 관련 안내문이 부착되어 있다. [헤럴드경제=임세준 기자/jun@]

[헤럴드경제=한지숙 기자]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하락세를 타고 있는 부동산 시장의 최우선 과제는 무엇일까?

직방이 지난달 16일부터 31일까지 보름 동안 자사 애플리케이션(앱) 이용객을 대상으로 올해 부동산 시장의 가장 시급한 과제를 물은 결과 전체 응답자 615명의 42%가 ‘가격안정’이 필요하다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런데 20일 직방이 공개한 응답 결과를 보면 주택 보유 유, 무에 따라 약간 달랐다.

유주택자는 현재 가장 시급한 과제로 ‘부동산 거래 활성화’(41.8%)를 꼽았다. 전월세와 매매가 동시에 꽁꽁 얼어붙은 거래 절벽 현실에 주목한 것이다.

유주택자는 이어 ‘부동산 가격 안정’(32.1%)을 선택했다.

반면 무주택자 절반 이상은 ‘부동산 가격 안정’(52.5%)을 가장 시급한 과제로 지목했다. 그 다음으로 시급한 과제로는 ‘주거약자 복지 구현’(19.9%)을 꼽았다.

응답자 전체로는 부동산 가격 안정 다음으로 시급한 과제로 ‘부동산 거래 활성화’(26.2%)가 꼽혔다. 이어 수도권·지방 양극화 해소를 위한 국토 균형발전(12.2%), 주거약자 복지 구현(11.5%), 교통·인프라 확충 등 국토교통 개발(4.4%) 등의 순이었다.

올해 이미 시행되고 있거나 준비 중인 정책 중 가장 관심이 크거나 기대되는 정책을 물은 결과, 역시 유주택자와 무주택자의 응답이 크게 달랐다.

전체로는 ‘전세사기 근절 및 피해자 지원’(29.1%·복수 응답)이 1위를 차지한 가운데 유주택자는 ‘다주택자 취득세 중과 완화’(23.6%)에 관심을 더 보인 반면 무주택자는 ‘전세사기 근절 및 피해자 지원’(45.1%)을 압도적으로 많이 선택했다.

이는 최근 ‘빌라왕’ 등 전세사기 피해 관련 보도가 잇따라 이 사안에 관심이 환기된 결과로 풀이된다.

전체로는 ‘전세사기 근절 및 피해자 지원’에 이어 다주택자 취득세 중과 완화(15.9%), 규제지역 다주택자 주택담보대출 금지 해제·주택담보대출비율(LTV) 완화(11.4%), 특례보금자리론 출시·1년 한시적 운영(11.4%) 등이 뒤를 이었다.

현재 부동산 시장에서 추가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대책은 ‘LTV,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등 대출 제도 개선’(22.9%)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전·월세시장 안정을 위한 정책 마련(12.8%), 주거 취약계층 및 서민 주거 안정(12.5%), 부동산 투기 및 불법 근절(10.6%), 지역별 균형발전을 위한 정책 마련(9.9%), 부동산 세제 개선(8.9%), 주택 공급 확대(8.3%) 등 순서로 나타났다.

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