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中 손대지 못할 것”…멕시코, 리튬 국유화
아르헨티나의 한 리튬 광산.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로이터]

[헤럴드경제=손미정 기자] 리튬 매장량 전 세계 10위인 멕시코가 리튬을 국유재산화하는 법안을 정식으로 공포하고 시행에 들어갔다.

19일(현지시간) 멕시코 현지 매체에 따르면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 대통령은 전날 소노라주 바카데우아치에서 소노라 지역 리튬 채굴보호구역을 선언하는 법안에 서명했다. 이에 따라 아리베치, 디비사데로, 그라나도스, 우아사바스, 나코리 치코, 사우아리파 등 소노라주 6개 지역 2348.55㎢의 리튬 매장지에 대한 탐사·채굴을 국가에서 독점할 수 있게 됐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멕시코 내 리튬 매장량을 170만t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 세계 10위권이다.

정부에서 발의한 이 법안은 당론으로 결정한 여당의 전폭적인 지지에 따라 지난해 속전속결로 상·하원을 통과했다.

멕시코 대통령은 이번 결정이 푸에르토 페냐스코 태양광 발전소를 포함해 신재생 에너지 비중을 확대하고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려는 약속의 일부라고 설명했다. 로페스 오브라도르 정부는 에너지 및 자원 분야에서 국가의 통제력을 높이는 자원민족주의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로페스 오브라도르 대통령은 “이 나라, 이 지역에 있는 리튬은 모든 멕시코 국민의 것"이라며 "러시아도, 중국도, 미국도 (그것을) 손댈 수는 없다”고 말했다.

로페스 오브라도르 정부는 앞서 자원민족주의의 일환으로 국영 석유회사(PEMEX)와 연방전력청(CFE)의 영향력을 강화하는 각종 정책을 도입하면서 전임 정부에서의 에너지 시장 개방 조류를 바꿔놨다. 멕시코 시장에 진출한 미국과 캐나다 등 다국적 기업을 비롯해 정치권에서 강한 반발을 하고 있지만, 정부 방침의 변화는 없는 상태다.

라켈 부엔로스트로 경제장관은 “새로운 산업정책으로 가는 노정에서 석유 국유화가 분수령이었다면, 리튬 국유화는 그 속도를 높이는 톱니바퀴로 기억될 것”이라고 말했다.

balm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