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아동학대 예방 캠페인 5년간 50억 쏟고도 오히려 늘어
아동학대 예방 위한 인식 개선 캠페인
5년간 50억 5600만원 예산 투입
아동학대 건수 2018년부터 지속 증가
“부모 교육 의무화” 지적도
[헤럴드DB]

[헤럴드경제=박지영 기자]보건복지부가 아동 학대 예방을 위한 인식 개선 캠페인 등에 연평균 10억원의 예산을 사용하고 있지만 아동학대 근절에는 큰 효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아동학대 가해자 대부분이 부모인 만큼, 부모 교육을 의무화 하는 등 내실화된 인식 개선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7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아동학대 예방 인식 캠페인 관련 홍보 예산은 2018년 10억7600만원, 2019~2021년 8억9800만원, 2022년 14억8600만원으로 5년간 52억5600만원이 투입됐다. 징계권 폐지 공익광고, 긍정양육 지침 마련 및 홍보, 아동학대 예방의 날 관련 캠페인 진행 등에 사용됐다.

인식 개선을 위해 5년간 50억원 이상의 예산이 투입됐지만, 아동학대 발생 건수는 오히려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발간한 2021년 아동학대 연차 보고서에 따르면 아동학대 판단 건수는 2018년 2만4604건에서 2021년 3만7605건으로 52.84% 증가했다. 아동의 수가 줄었는데도 아동학대 발생 수는 늘어난 것.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0~14세 인구는 2018년 12월 662만8610명에서 2021년 12월 612만4546명으로 50만명 줄었다.

학대 행위자 중 부모가 차지하는 비중 또한 2018년 76.9%에서 2021년 83.7%로 6.8% 포인트 늘었다. 2015년 아동복지법 개정으로 보호자의 아동에게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가하는 행위가 금지되고, 특히 2021년 1월 자녀 징계권이 규정된 민법 제915조가 폐지되는 등 제도적으로 진전이 있었지만 가정 내 아동학대가 여전한 셈이다.

국제아동권리 비정부기구(NGO) 세이브더칠드런이 지난해 6월 실시한 징계권 폐지 관련 설문 조사 결과, 자녀에 대한 징계권 삭제 사실을 알고 있다고 대답한 비중은 21.2%에 불과했다. 지난 7일 인천에서 발생한 아동학대 의심 사망 사건에서도 계모 A씨(43)는 경찰에 “훈육 차원의 체벌”이었다고 진술하기도 했다.

법률사무소 율다함의 신수경 변호사는 “아동이 사망에 이르는 ‘심각한’ 수준의 아동 학대는 한번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단계적으로 학대가 누적되다가 발생하는 것”이라며 “징계권 폐지나 인식 개선 캠페인은 아동학대 심화 과정을 막는 데 중요하다. 지속적으로 캠페인을 확대·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스웨덴은 1979년 아동체벌금지를 명문화한 법을 통과시킨 후 대대적인 캠페인을 벌였다. 그 결과 스웨덴에서 매 맞는 아동의 비율은 1980년대 3명 중 1명에서 2015년 20명 중 1명으로 줄었다. 스웨덴은 각 급 학교와 성인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법 개정 취지를 교육시키고, 우유갑에 아동체벌 관련 그림을 넣는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했다.

실질적인 인식 개선을 위해 부모의 교육을 의무화 하는 등 보다 강력한 제도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세이브더칠드런 관계자는 “가정 내 체벌과 아동학대 근절을 위해서는 양육자 교육을 법제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학대 건수가 줄어들지 않은 것은 안타깝다”면서도 “사회 전반적으로 아동학대 인식이 높아져 신고가 늘어난 효과도 있다. 향후 인식 개선 위한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진행할 것”이라고 답했다.

park.jiye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