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어색한 한글로 "고마워 형"…한국 구호대 텐트에 적힌 감사 인사
15일(현지시간) 튀르키예 하타이 주 안타키아에 설치된 한국긴급구호대 숙영지 텐트에 한 튀르키예 시민이 한국어로 "고마워 형"이라고 쓴 문구가 남아있다. [대한민국 긴급구호대]

[헤럴드경제=최원혁 기자] 튀르키예 지진 직후 현지에 파견돼 구조 활동을 벌이는 대한민국 긴급구호대(KDRT) 1진에 현지 주민들이 진심을 담은 감사 인사를 전했다.

15일(현지시간) 구호대에 따르면 이날 구호대 1진은 튀르키예 남부 하타이주 안타키아의 셀림 아나돌루 고등학교에 차린 숙영지를 떠나 비교적 안전한 지역인 아다나로 출발했다.

이에 앞서 이 소식을 들은 인근 주민들은 숙영지를 찾아와 구호대와 인사를 나누고 구호대가 기증하기로 한 텐트에 감사의 마음을 담은 문구를 적었다.

한 주민은 한글로 “고마워 형”이라고 적었다. 한국전쟁 당시 튀르키예의 파병을 계기로 양국이 서로를 형제의 나라로 부르는 것을 떠올리고 번역기를 돌린 듯 조금은 어색한 표현과 글씨체였다.

한글로 “형제 나라”라고 적고 옆에는 다시 튀르키예어로 “형제의 나라, 한국과 튀르키예”라고 쓴 글도 있었다.

15일(현지시간) 튀르키예 하타이 주 안타키아에 설치된 한국긴급구호대 숙영지 텐트에 한 튀르키예 시민이 한국어로 "고마워 형"이라는 문구를 쓰고 있다. [대한민국 긴급구호대]

이밖에도 다른 텐트 앞에는 영어로 “도우러 와줘서 고맙다. 친애하는 한국인 친구들”이라고 적은 하얀 널빤지가 세워졌다.

118명 규모의 구호대 1진은 지난 7일 튀르키예로 출발해 최대 피해 지역 중 하나인 하타이주 안타키아에서 현지시간 9일부터 구조 활동을 펴 왔다. 이들은 ‘골든타임’이 지난 시점을 포함해 총 8명의 생존자를 구해내는 등 성과를 거뒀다.

하지만 극심한 추위와 전기·수도 단절 등 열악한 활동 여건에 시달리는 가운데 현지 치안까지 악화하면서 2진과 임무 교대를 결정했다.

생존자 구조 가능성이 희박해진 가운데 이미 16개국가량이 구호대 철수 결정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구호대 1진은 아다나에 도착한 뒤 현지시간 17일 튀르키예를 떠나 18일 서울에 도착할 예정이다.

한편 21명 규모의 구호대 2진은 16일 밤 군 수송기 편으로 튀르키예 아다나로 출발해 7일가량 활동한다. 이들은 이재민 구호에 나서는 한편 재건 및 지원 사업 수요를 파악할 계획이다.

choig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