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챗GPT 지분 없는 머스크 “AI, 문명에 해롭다”
오픈AI 설립 참여했다가 손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열린 세계정부정상회의(WGS)에 화상으로 참석했다.[AFP]

인공지능(AI) 챗봇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를 공동으로 설립했던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15일(현지시간) AI의 위험성을 강력히 경고하면서 규제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머스크는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열린 세계정부정상회의(WGS)에 화상으로 참석해 “문명의 미래에 가장 큰 위험 중 하나는 AI”라고 강조했다.

그는 “AI에는 긍정 또는 부정적인 측면이 있다”며 “그것은 거대한 가능성과 능력을 갖추고 있고, 거기에는 거대한 위험도 따른다”고 지적했다.

머스크는 전 세계적으로 AI 열풍을 일으킨 챗GTP에 대해선 “AI가 얼마나 발전했는지를 보여줬다”면서도“솔직히 말해서 AI와 관련한 안전을 위해 규제에 나서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규제를 받지 않는) AI는 (안전 기준이 있는) 자동차와 비행기, 의약품보다 사회에 더 큰 위험이라고 생각한다”며 “규제가 AI의 발전을 조금 늦출 수도 있지만, 그 또한 좋은 일로 본다”고 말했다.

머스크는 오픈AI 설립에 참여했고 테슬라 전기차의 운전자 보조 기능인 ‘오토파일럿’에 AI 기술을 적용하는 등 AI의 활용 가능성에 일찍부터 관심을 기울여왔지만, AI가 가져올 부작용도 계속해서 지적해왔다.

그는 과거에 규제에서 벗어난 AI 개발은 핵폭탄보다 더 위험하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경제매체 CNBC 방송에 따르면 머스크는 오픈AI CEO인 샘 올트먼 등과 함께 2015년 이 회사를 창립했으나 2018년 테슬라의 AI 연구에 따른 이해충돌 문제로 오픈AI 이사직을 사임했고 이 회사에 대한 투자 지분도 모두 처분했다.

그는 WGS 회의에서 “처음에 오픈AI는 개방형 비영리 회사로 만들어졌으나 이제 오픈AI는 폐쇄형 이윤 업체”라면서 “현재 나는 오픈AI에 지분을 갖고 있지 않고 이사회에도 없으며 어떤 형태로든 이 회사를 통제하지도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민경 기자

th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