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구시, 미래모빌리티 중심도시 조성 1749억원 투입
미래모빌리티 기회의 도시 대구 구상도.[대구시 제공]

[헤럴드경제(대구)=김병진 기자]대구시는 '지상에서 하늘까지 자유로운 도시'를 비전으로 올해 미래모빌리티 산업 육성에 1749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한다고 15일 밝혔다.

시는 자율주행 모빌리티 도시를 만들기 위해 국가산업단지와 테크노폴리스, 설화명곡역으로 연결되는 자율주행 시범운행 구간을 서대구역 일대까지 확대한다.

전국 처음으로 KTX-자율주행-지하철이 단절 없이 연결되는 '자율주행·대중교통 연계 시대'를 열게 된다.

미래차 디지털융합산업 실증플랫폼 구축사업을 통해 이미 구축한 자율주행 전용도로를 일반 시내도로까지 확대하고 소형 승용차부터 버스까지 모든 차종에 실증이 가능한 환경을 구축한다.

대구는 광역 도시 중 유일하게 도심 내에 39만4565㎡ 규모의 지능형 자동차부품 주행시험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테크노폴리스, 국가산단, 수성알파시티 일대에 자율주행 전용도로를 운영하고 있다.

시는 이 주행시험장에 자율주행 시험로와 유럽 신차 평가기준 통과를 위한 시험장비 등을 증설해 글로벌 수준의 시험장으로 고도화한다.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도 구축한다. 시는 전기차 혁신 모터밸리 조성과 연계해 모터 제조와 생산에서 재활용까지 전 주기를 아우르는 소부장 특화단지를 만든다.

지역에는 국내 유일하게 전기차 모터용 영구자석을 생산하는 성림첨단산업과 국내 전기차 모터 코어의 70%를 생산하는 고아정공, 현대전기차 모터 모듈을 위탁생산하는 경창산업 등이 있다.

UAM도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키운다. 시는 올해 'UAM 등 모빌리티 산업기반 구축사업'을 통해 선도기술 연구를 지원하고 글로벌포럼을 운영하며 금호강 하중도 노선을 대상으로 UAM 비행 시연도 추진한다.

시는 전기차 보급도 확대해 올해 전기차 7947대와 전기이륜차 3335대 등 총 1만1684대를 보급한다. 지난해 12월 대구지역 전기차 보급률은 1.96%로 전국 평균 1.53%보다 높은 수준이다.

특히 늘어난 보급물량에 맞춰 시민들이 충전에 불편함이 없도록 민간기업과 협업해 충전인프라 확충에 힘을 쏟는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대구경북신공항, K2 종전부지 개발 등 대구가 준비 중인 미래 50년 도시공간 개발 프로젝트와 연계해 앞으로 대구가 전국 최고 모빌리티산업 도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kbj7653@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