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경북도·포항시,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인재양성 위한 업무협약 체결
[경북도 제공]

[헤럴드경제(안동)=김병진 기자]경북도는 15일 포항시청 대회의실에서 포항시, 경북소재 산학·기관대표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이차전지 산업생태계 구축 및 인재양성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은 산업과 교육이 선제적으로 변화를 읽고 협력을 주도해야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생존할 수 있다는 인식 아래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을 위한 선도기업 중심의 협력사항과 이차전지 관련 인재양성이라는 두 방향으로 협약이 이뤄졌다.

이차전지는 '탈 탄소화'라는 글로벌 트렌드 속에 전기차 중심으로 급속히 성장하고 있지만 주요 국가들은 이차전지산업 내재화를 위해 미국의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EU 새로운 배터리 규정 등 보호무역을 강화하고 있다.

도는 그동안 이차전지 산업 기반조성을 위해 '배터리 규제자유 특구(2019)' 안착화와 후속 국책사업 유치에 노력을 기울여 4조 1634억원(MOU기준)이라는 투자유치를 달성했다.

포스코케미칼, 에코프로 등 선도기업이 앞에서 끌고 중소·중견기업이 함께 커갈 수 있도록 산업기반시설·공동장비활용 지원 등을 지자체가 뒷받침해 '이차전지 전주기 생태계'를 구축한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선도기업 중심으로 양극재 100만톤 이상을 생산하는 생산설비 구축에 합의했다.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2030년 글로벌 양극재 수요 기준(605만톤)의 17%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경북이 글로벌 양극재 시장의 중추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산업생태계 구축에 인재양성은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부분으로 지역에서 좋은 인재를 양성하고 지역산업을 이끌고 정주할 수 있는 혁신 인재가 필요하다.

도는 기업에 필요한 이차전지 R&D·공정·생산 각 분야별 기업 맞춤형 인재육성을 지원하기 위해 지방정부·기업체·교육기관 등이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는 인재양성 공동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도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자동차산업이 전기차로 전환하는 중요한 시기에 이차전지 산업을 선점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며 "기업, 교육기관과 협력해 이차전지 산업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kbj7653@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