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인천공항·영종 주민 ‘난방 공급 계획’ 조기 수립 절실
정부, 인천공항에너지 매각 방침… ‘경영난’ 상황에 매각 성사될지 미지수
공항·영종주민에 열 공급하는 ‘인천공항에너지’ 2031 년까지 가동
공항 확장·주변 개발로 현재 발전시설 포화… 정부, 난방 공급 계획 부재
허종식 의원 “발전시설 용량 확대·신규 발전소 건립 등 대책 마련해야”
영종하늘도시

[헤럴드경제(인천)=이홍석 기자]난방비 폭등으로 국민 부담이 가중된 가운데 인천국제공항과 공항신도시 , 영종하늘도시가 있는 인천시 중구 영종지역에는 난방 공급 계획이 부재한 것으로 확인됐다.

15일 허종식 국회의원(국회 국토교통위원, 더불어민주당 인천 동구미추홀구갑 )이 인천국제공항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인천공항에너지㈜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영종지역에 가동 중인 열병합발전소는 2031년 3월까지 운영될 예정이다.

정부의 민자사업 (BTO) 방침에 따라 1997년 설립된 인천공항에너지는 2001년부터 열병합발전소를 운영하기 시작했다.

이후 적자가 누적되면서 2008~2009년 자본잠식 등 경영 위기가 불거지자,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지분 99%를 인수했다. 당시 실시협약을 변경하면서 발전소 사용기간이 14년에서 30년으로 연장됐고(2015년 → 2031년 ), 열 공급범위도 영종하늘도시까지 확대됐다.

열 배관망 길이만 64km로 인천공항을 비롯해 공항신도시(5351 세대), 영종하늘도시(1만1427 세대) 등 영종 전역의 열 공급을 전담하는 핵심 기반시설인 것이다.

공항공사가 대주주가 된 이후에도 경영난은 이어졌다는 지적이다. 인천공항에너지는 공항공사의 차입금 지급보증 없이는 경영이 어려운 상황이다. 발전소가 20년 이상 운영되면서 설비 노후가 진행되고 있지만, 열악한 재무구조로 시설 개선 등 투자 여력이 부족하다 .

이런 가운데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9 월 공공기관 혁신방안의 일환으로 인천공항공사 측에 인천공항에너지 열병합발전소를 에너지 전문 기관 등에 이양하도록 했다. 공항공사 본연의 업무와 관련성이 낮다는 이유를 제시, 발전 공기업 또는 민간 발전사 측에 매각하도록 한 것이다.

오는 2031 년 문을 닫는 자본잠식 상황의 회사 매각이 원활하게 진행될지, 공항공사가 지급보증한 차입금 1270억원을 회수할 수 있을지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더 큰 문제는 2031년 이후 영종지역 열 공급에 대한 로드맵 등 향후 계획이 아직까지 수립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인천공항 4단계 확장 등 공항경제권 형성을 비롯해 주변 지역개발이 잇따라 추진됨에 따라 영종지역의 열 수요 증가는 불 보듯 뻔해, 500MW급 발전시설이 도입돼야 안정적으로 열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됐다.

기존 시설의 운영기간을 연장하더라도 시설 포화가 불가피해 발전용량 확대 등 대대적인 투자를 하거나, 신규 발전소를 건립해야 하는 것이다.

신규 발전소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인허가 기간 등을 포함해 통상 7 년 정도 소요된다. 2025년 이전까지 계획 확정이 필요한 상황으로, 영종 주민들의 발전소 수용성 등을 감안하면, 영종지역 발전시설 정비에 대한 공론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

허종식 의원은 “인천공항에너지의 매각 방침보다 안정적 운영 대책과 2031년 이후에도 적기에 영종지역에 열을 공급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며 “산업통상자원부와 조기에 협의에 나서도록 하는 등 국토교통부에 대책 마련을 촉구하겠다” 고 말했다 .

gilber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