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가스 가격 치솟자 석탄발전으로 회귀하는 개도국
파키스탄 “석탄발전 4배 늘릴 것”
인도, 탈탄소 중단 석탄발전 확대

선진국에 의해 주도되고 있는 ‘탈탄소’ 전략은 그들만의 리그로 남게 될 공산이 커 보인다. 액화천연가스(LNG)의 가격 급등과 높은 변동성으로 인해 상당수 개발도상국들이 값싼 석탄 화력 발전으로 회귀하고 있기 때문이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파키스탄 정부는 13일(현지시간) “발전비용을 줄이기 위해 석탄 화력 발전 능력을 4배 늘릴 것”이라며 “앞으로 최소 몇년 간 LNG발전소는 새로 짓지 않을 것”이라고 공개적으로 밝혔다.

국가 전력 생산량의 3분의 1 이상을 LNG에 의탁했던 이 나라는 작년에 공급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으면서 몇 시간에 이어지는 정전사태를 마주해야만 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LNG 가격이 폭등했는데, 파키스탄은 자체적으로 국가부도 직전의 경제위기에 처한 상황이다.

해답은 결국 석탄이었다. 쿠람 다스트기르 칸 파키스탄 에너지부 장관은 “(석탄은)저렴한 에너지 생산 비용 뿐만아니라 국내 자원을 사용하는 것이란 점에서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LNG는 더 이상 장기 계획으로 두지 않는다”며 “국내 석탄 화력 발전 용량을 현재 2.31기가와트(GW)에서 중기적으로 10GW로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인구 14억명의 인도는 2년 전 석탄 연료 사용을 단계적으로 줄이겠다고 약속했지만 지난 1월 이를 번복해야 했다. 전력 수요 급증에 대처하기 위해선 2030년까지 석탄화력발전소를 닫아선 안된다는 계산이 선 것이다.

인도 중앙전력청(CEA)은 1월 20일 연방전력부 공무원들에게 보낸 통지문에서 “2030년까지 어떤 화력(발전) 장치도 폐기하지 말고 필요한 경우 개조 및 현대화 활동을 수행한 후 장치의 가용성을 보장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인도의 연간 발전량의 거의 4분의 3을 석탄이 차지하는 가운데 인도는 지난해 5월 앞으로 4년 동안 최소한 81개의 석탄 화력 발전소에서 발전량을 줄인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아프리카의 짐바브웨도 최근의 잦은 정전 사태를 겪는 시민들을 구제하기 위해 늦어도 오는 3월까지 석탄 화력 발전소를 추가로 가동하겠다고 정부가 지난 8일 공약했다.

이민경 기자

th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