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日, ‘원전 신규 건설’ 방침 확정…60년 초과 운전도 허용
후쿠시마 사고 후 강화된 규제 대폭 완화
'차세대 혁신로' 개량형 원전 개발·건설 추진
"2050년 탈탄소 실현 위해 원전 최대한 활용"
2011년 동일본대지진으로 수소 폭발 사고가 일어난 후쿠시마 제1원전 1호기(뒤에 있는 건물)를 지난 2일 찍은 모습. 폭발 사고로 철근 등이 구부러지는 등 사고 흔적이 12년이 다 된 지금도 그대로 남아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 일본 정부가 원자력발전소 규제를 대폭 완화해, 신규 건설과 60년 초과 운전을 허용하기로 했다.

11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전날 각의(閣議·국무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GX(그린 트랜스포메이션) 실현을 향한 기본방침'(이하 기본방침)을 결정했다.

2011년 3월 동일본 대지진 당시 발생한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 사고를 계기로 강화된 원전 규제를 다시 완화하는 방향으로 정부 방침을 전환한 것이다.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원전을 새로 건설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고수해왔지만, 앞으로는 '차세대 혁신로'라고 불리는 개량형 원전의 개발 및 건설에 나서기로 했다.

우선 폐로가 결정된 기존 원전 부지 내 개량형 원전을 짓고, 현재는 원전이 없는 지역에도 신설을 검토하기로 했다.

원전 운전 기간은 40년을 원칙으로 하고 최장 20년 연장이 가능하다는 골격을 유지하면서 운전 정지 기간만큼 추가 연장을 인정하기로 했다. 정지 기간에 따라 60년 초과 운전도 가능해진 셈이다.

일본 정부는 작년 12월 이런 기본방침(원안)을 제시하고 국민 의견공모 절차를 거쳤다. 의견수렴 과정에서 원전 규제 완화에 대한 반대 의견이 많았지만, 원안에 대한 큰 수정은 없었다고 아사히신문은 지적했다.

일본 정부가 전날 확정한 기본방침에는 2050년 탈(脫) 탄소 사회 실현을 위해 재생에너지와 함께 원전을 최대한 활용한다는 내용이 명시됐다.

sp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