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은행권 대출금리 ‘주춤’ 잠깐이었다…예대금리차 공시 효과는 단 ‘4개월’
지난해 7월 예대금리차 공시 제도 개선
대출금리 소폭 낮아졌지만
이후 3개월만에 과거 추세 웃돌아
서울 한 거리에 시중은행의 자동화입출금기기(ATM)들이 놓여 있다.[연합]

[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은행의 과도한 ‘이자장사’를 방지하기 위해 지난 7월 시행된 월별 예대금리차 공시의 효과가 단 몇개월 만에 사그라든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한국금융연구원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예금은행의 예금 및 대출 금리 현황 분석 및 평가’ 보고서를 공개했다. 여기에는 1999년 5월부터 이번 금리인상기 이전인 2021년 7월까지 기준금리와 대출금리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가 담겼다.

보고서에 따르면 평균적으로 기준금리가 1%포인트(p) 상승할 때 예금은행의 대출금리는 1.14%p 상승했다. 이를 토대로 하면 7월과 8월의 예금은행 평균 대출금리는 과거 추세에 비해 각각 마이너스(-)0.20%포인트(p), -0.18%p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은행권 예대금리차 비교 공시 개선이 대출금리 안정화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했다.

기존 예대금리차는 은행이 분기마다 자체적으로 공시했다. 그러나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7월 각 은행의 월별 예대금리차를 은행연합회 홈페이지를 통해 공시하도록 제도를 개선했다. 은행 간 예대금리차 경쟁을 유도해, 과도한 ‘이자장사’를 막겠다는 취지였다.

서울 한 시중은행의 대출 안내문 앞을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연합]

그러나 예대금리차 공시 제도 개선의 효과는 길게 이어지지 않았다. 지난해 11월 국내 예금은행의 가중평균 대출금리는 5.64%로 과거 추세(5.55%)에 비해 0.09%p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단 4개월 만에 대출금리의 흐름이 바뀐 것이다.

이같은 양상은 예대금리차에서도 나타났다. 실제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국내 예금은행의 예대금리차(총대출금리-총수신금리)는 2.51%로 지난해 7월(2.38%)에 비해 약 0.13%p 상승했다.

한편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이 지난해 거둬들인 이자이익은 약 32조원에 달했다. 2021년과 비교해 약 20% 늘어난 수치다. 예대금리차 확대를 기반으로 거둔 순이익은 총 12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w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