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기업 10곳 중 6곳은 성과급…개인·부서 따라 차등 지급이 대세
HR연구소 기업 341곳 조사
평균 연봉 12%로 지급

같은 회사 안에서도 개인, 부서 실적에 따라 성과급을 차등 지급하는 방식이 점차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123rf]

[헤럴드경제=한지숙 기자] 같은 회사 안에서도 성과급 차이가 벌어지면서 ‘보너스 격차’가 논쟁이 뜨겁다. 실제 기업 10곳 중 4곳이 개인·부서 실적에 따라 성과급을 차등 지급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9일 사람인 HR연구소가 기업 341곳을 대상으로 ‘2022년 귀속 성과급 지급 현황’을 설문한 결과에 따르면 기업 10곳 중 6곳(58.4%)이 성과급을 지급했거나 지급할 예정인 것으로 조사됐다.

성과급을 지급하는 기업 비중은 대·중견기업(67.2%)이 중소기업·스타트업(54%)보다 13.2%포인트 높았다.

성과급 지급 방식은 ‘개인·부서 실적에 따른 차등 지급’(41.7%)이 가장 많았다.

이어 연봉 비례 정률 지급(16.1%), 연봉 비례 차등 비율 지급(15.1%), 실적·직급·연봉 등과 무관하게 고정 금액 지급(13.6%), 직급·연차에 따른 차등 지급(11.6%) 등의 순이었다.

또 응답 기업의 36.7%는 올해 성과급 지급 방식을 개편하거나 성과급 지급을 신설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중 절반 이상인 55.2%가 개인·부서 실적에 따라 차등 지급한다고 밝혔다.

성과급 지급 기업의 직원 1인당 평균 성과급 산정 비율은 연봉의 12.4%로 집계됐다. 연봉 5000만원일 경우 620만원을 받는 셈이다.

성과급 규모가 지난해와 비교해 비슷하거나(38.2%), 확대됐다(32.2%)는 응답이 전체의 70% 가량을 차지했다. 지난해보다 줄었다는 응답은 20.1%였다.

성과급 지급 이유(복수응답)로는 직원의 사기 진작(63.8%)이 가장 많았다. 성과 목표 달성(49.2%), 인재 관리 차원(26.6%) 등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 반면 ‘회사 재정 상태가 좋아져서’라는 응답은 4.5%에 불과했다.

이는 과거 기업들이 정량적인 평가로 성과급을 주던 관행에서 탈피해 핵심 인재를 확보·유지하기 위해 단기 성과를 즉시 보상하고자 한 데 따른 것으로 HR연구소는 분석했다.

최승철 사람인 HR연구소장은 "촉발된 인재 전쟁으로 실적에 따라 성과를 바로 보상하는 성과주의가 경영계 전반으로 급격하게 확산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변화하는 상황에 맞춰 보상 재원과 방법, 적시성 등 다양한 부분에서 과거와는 다른 정책을 세워 인재 유치 경쟁력을 높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