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북한 평년 기후까지 본다…‘기상청 API 허브’ 개설
기상정보포털 통해 API 허브 제공
지상·해양·레이더·위성 등 12개 분야 120종
API 형식 제공으로 쉽고 빠르게 데이터 제공
“새로운 기상서비스 발굴 기대”
기상청 API 허브 누리집 [기상청 제공]

[헤럴드경제=박지영 기자]기상청이 기상 데이터 정보 제공 확대를 위해 API 포털사이트를 개설하고 자료 공개 범위를 대폭 확대한다. 우리나라 지상, 황사, 적설 관측자료는 물론 북한 기상기후 자료 조회도 가능해진다. 수치예측 모델, 위성 등 대용량 데이터가 제공해 인공지능(AI) 분야 등 민간기업들의 데이터 활용도가 높아질 전망이다.

6일 기상청은 ‘기상청 API 허브’를 기상자료개방포털 누리집을 통해 제공한다고 밝혔다.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인터넷으로 연결된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주고받는 표준 접속 방식이다. API 형태로 데이터를 제공하면 보다 쉽게 데이터를 주고 받고 활용할 수 있다.

우선 API 제공 범위가 확대된다. 기존 12개 분야 48종에서 120종으로 확대했다. 수십 년 전부터 축적된 관측 데이터는 물론 슈퍼컴퓨터, 위성 등 첨단장비를 통해 만들어지는 날씨 예측, 기후 변화 데이터까지 이용할 수 있다. 지상, 해양, 고층, 레이더, 위성, 지진, 태풍, 수치모델, 예특보, 응용기상, 항공기상, 세계기상 등 12개 분야다. 예를 들어 지상 데이터 분야에서 우리나라 지상 관측자료, 지상 평년값, 황사·적설·자외선 관측 자료는 물론 북한의 지상 자료와 북한 지상 평년값까지 23개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다. 기후·환경 위기 등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기상기후데이터가 더 빠르고 쉽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중이다.

수치예측모델, 위성 등 대용량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도 특징이다. AI 연구 등 민간에서 수요가 많았으나 일괄적으로 내려받기 어려웠던 항목들이다. 영역 및 요소별로 분할·선택해 실시간으로 이용할 수 있게 개선했다. 기존에는 기상자료개방포털, 방재기상정보포털, 국가기상위성포털, 공공데이터포털 등에 분산됐다. 각 자료 이용을 위해 누리집 회원 가입 및 서비스 신청 등 번거로웠다. 기상청 API 허브는 12개 분야 기상기후 데이터를 기상자료개방포털 한 곳에서 모두 검색·신청할 수 있다.

유희동 기상청장은 “신재생에너지, 도심항공교통 등 다양한 분야로 기상기후데이터의 활용 범위가 눈에 띄게 확대되고 있다”며 “국민 안전은 물론 민관이 상생하는 새로운 기상서비스 발굴과 기후변화를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원천 데이터를 개방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park.jiye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