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위안소는 사실 일본 군시설…직접 운영 증거”

[헤럴드경제=이윤미 선임기자]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위안부’ 모집과 ‘위안소’ 운영에 일본 정부가 직접 관여했다는 사실을 부정하면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는 상태이다.

그동안 관련 연구는 일본군 ‘진중일지’에 기록된 위안소 여부에 초점이 맞춰졌으나 진중일지에 위안소 기록이 나온다는 이유로 해당 부대가 실제 위안소를 개설하고 운영했는지는 모호하다.

이런 가운데 하종문 한신대 일본학과 교수가 위안소가 기재된 진중일지 전체를 해당 부대와 관련 부대의 제반 자료 등과 접목, 위안소 설치와 이용에 일본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했음을 밝혀낸 ‘진중일지로 본 일본군 위안소’를 펴냈다.

상하이 파견군이 주도 “부대 내 성병 관리 필요”

진중일지는 상당수가 일본의 패전 전후 조직적으로 소각됐고, 전쟁 중 망실되기도 했다. 현존하는 진중일지 원본은 방위성 산하 방위연구소가 소장하고 있으며, 오키나와 전투에 참여한 부대의 진중일지 일부는 내각부 산하 ‘오키나와 전관계 자료열람실’에서만 검색 이용이 가능하다.

하 교수는 10여 년간 수 많은 일본군 부대를 일일이 추적, 끈질긴 작업 끝에 위안소가 평시 출입하는 민간의 성매매업소와는 질적으로 구별되는 해당 부대에 부속된 ‘군시설’임을 밝힌다.

위안소를 출입하려면 군인은 ‘외출’허가를 받아야 했다. 부대는 휴무일에 맞춰 외출을 허가하고 관리했다. 즉 해당 부대의 지휘관의 통제를 받았다.

일본이 창안한 위안소는 천황이 재가한 군령과 육군의 행정명령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일본군위안부역사관 앞 소녀상. [게티이미지 제공]

유례없는 일본의 위안소 시스템이 출현한 것은 1937년 중일전쟁 와중으로 난징 함락 직후 생겨났다. 앞서 만주사변 시기엔 성매매업소를 이용하도록 했는데 성병이 창궐하면서 군내에서 조직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본 것이다. 당시 상하이 파견군이 위안소 설치를 주도, 육군성이 긴급히 콘돔 100만 개를 공수했다는 사실이 문서로 확인된다.

그 해 12월 중순 부터는 약 3000명의 위안부 모집이 시작돼 일본 본토와 조선에서 활동에 들어갔다. 이 징집 과정에서 유괴와 다름없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중지나 파견군의 주둔이 장기화하면서 창저우 위안소는 대규모로 커졌다. 하사관과 병사 뿐 아니라 장교도 이용했으며, 요금이 차별화된 중국인, 조선인, 일본인 위안부를 수용한 복수의 위안소가 존재했다. 군 내무 규정에는 다른 부대의 위안 일에는 출입할 수 없도록 엄격히 규제하고, 계급별로 이용시간을 정하는 등 세부적으로 사용 규정을 두고 있음이 확인된다.

오키나와 위안소는 완성된 형태…군대내무서에 근거

저자는 중일전쟁 초기 국면의 위안소 설치부터 타이완, 쉬저우, 우한, 광둥 등 대규모 전투가 빈번해지는 상황에서 외무성, 내무성까지 깊숙이 관여한 사실을 찾아낸다. 또 아시아·태평양전쟁 시기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 버마,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지에 주둔했던 부대와 위안소의 실상을 꼼꼼히 살핀다.

특히 오키나와는 위안소 제도의 완성된 형태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2개 지역과 3개 부대에 설치된 위안소는 ‘결전’에 즈음해선 군의 부속 시설을 넘어 ‘군사시설’화 한다. 절해고도 오키다이토섬 수비대의 경우, 미군 상륙이 임박하자 섬의 모든 민간인을 퇴거시켰지만, 위안부는 잔류시켰다. 위안부를 ‘군의 요원’으로 간주한 것이다.

일본군위안부역사관 앞 소녀상. [게티이미지 제공]

한마디로 위안소 운영은 군대내무서에 근거를 둔, 외출을 통해 병사와 위안부를 연결해 주는, 공식적인 일본군 성노예 시스템이었다는 결론이다.

진중일지와 부대의 제반 자료를 총체적으로 고찰해 군사시설로서의 위안소를 증명했다는 점에서 관심을 모은다.

진중일지로 본 일본군 위안소/하종문 지음/휴머니스트

mee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