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 반도체 수출 통제 참여시 한국 수출 반등 힘들다
유럽 탄소국경조정제 도입 예고
반도체 이어 철강도 수출 타격

우리 수출의 20%가량 차지하고 있는 반도체 수출이 새해 부터 45%가량 급감하면서 한국경제의 혹한기를 예고하고 있다.

특히 일본과 네덜란드가 미국의 대(對)중국 반도체 장비 수출 규제에 동참함에 따라 국내 반도체 기업들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국내 수출의 회복은 당분간 힘들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반도체는 국내 전체 수출 물량의 25%를 차지하고 있는 대(對) 중국 1등 수출 품목이다.

여기에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로 우리 주력 중 하나인 철강 제품도 수출에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와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달 반도체 수출은 전년 동월대비 44.5% 급감했다.

작년 반도체 수출액은 1292억3000만달러로 전년 대비 1.0% 증가하는 데 그쳤다. 연간 수출액은 역대 최대를 기록했지만, 월 수출액은 하반기부터 감소세가 본격화했다. 8월부터 5개월 연속 수출이 감소하면서 29.0%의 성장률을 기록했던 재작년보다 증가폭이 크게 축소됐다.

반도체 시황 악화에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장비 수출 규제까지 덮치면서 올해 상황은 더 나빠질 것으로 우려된다. 실제로 최근 일본과 네덜란드는 각각 도쿄일렉트론, ASML 등 반도체 장비 기업이 있는 나라들로 글로벌 톱5 반도체 장비 기업 모두 미국의 중국 규제에 동참했다.

당장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중국에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수출 규제는 악재가 될 가능성이 크다.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과 쑤저우에 낸드플래시, 반도체 후공정(패키징)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우시 D램 공장, 충칭 후공정 공장과 인텔에서 인수한 다롄 낸드 공장 등을 운영하고 있다.

철강 제품 수출도 악재를 맞고 있다. 1월 철강 수출은 25.9%나 줄었다. 지난해 철강(384억6000만달러)은 하반기 들어 수출 증가율이 두 자릿수에서 한 자릿수로 쪼그라들더니 결국 9월부터는 줄곧 마이너스다. 철강 제품의 연간 수출액은 지난해 5.7%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런 가운데 EU는 CBAM과 관련해 오는 10월부터 2025년까지 2년3개월을 ‘보고 의무 부과 기간’(전환기간)으로 정하고, 2026년부터는 CBAM을 본격 시행할 예정이다. 철강은 상대적으로 우리나라의 대EU 수출액이 크고, 탄소 배출이 많은 고로 공정의 비중도 높아 향후 수출에 큰 타격이 예상된다.

정부는 무역수지가 시차를 두고 점차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주재한 재정경제금융관 간담회에서 “1월을 지나면서 계절적 요인이 축소되고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가 시차를 두고 반영되면서 점차 개선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배문숙 기자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